SBS 뉴스 쪼개기 중간광고 도입 논란… “공공성 악영향 우려”

SBS 뉴스 쪼개기 중간광고 도입 논란… “공공성 악영향 우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0-07-29 17:42
업데이트 2020-07-30 1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월 3일 도입은 일단 보류됐지만
이르면 가을 개편 때 편성 가능성
SBS “합법” 전문가 “신뢰도 약화”

이미지 확대
‘SBS 8뉴스’
‘SBS 8뉴스’
SBS가 이르면 가을 개편 때 간판 뉴스인 ‘SBS 8뉴스’에 유사 중간광고(PCM)를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8월 3일로 예정됐던 일정을 보류한 것이지만 PCM 확대가 뉴스 공공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은 피해 가기 어려워 보인다.

●신문협회 “시청권 반하는 편법 행위”

SBS는 지난 28일 ‘8뉴스’ PCM 도입과 관련해 입장을 내고 “시간 확대 및 뉴스 구성 변화에 관해 보도본부와 협의해 추후 정기 개편 시 도입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SBS기자협회와 공정방송위원회는 이날 열린 보도편성위원회에서 보도국 의견을 전하며 절차 문제와 전략 부재에 대한 유감을 표명했다. 앞서 SBS는 구성원과 상의 전 광고 판매를 대행하는 미디어랩을 통해 50분 길이 뉴스에 30초 PCM을 판매한다고 고지해 비판이 일었다. SBS 노조 관계자는 “뉴스의 맥이 끊어지고 졸속으로 추진된다는 점에서 PCM에 반대하는 의견과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공존한다”며 “다만 탐사·기획 확대 등 보도에 대한 고민 없이 광고 영업부터 한 것은 문제”라고 밝혔다.

SBS는 “뉴스 PCM은 광고 규제가 많은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합법적 시행”이라는 입장이다. PCM은 중간광고가 금지된 지상파가 한 개 프로그램을 나눠 광고를 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전후보다 주목도와 단가가 높다. 이 때문에 재정난에 빠진 지상파들이 드라마와 예능에 PCM을 도입했고 SBS는 지상파 최초로 3부 쪼개기 편성을 했다.

●MBC·JTBC도 뉴스 중간광고 시행

최근에는 MBC ‘뉴스데스크’도 확대 개편과 함께 1, 2부 사이에 광고를 넣었다. 종합편성채널 JTBC도 총 2부 진행이다. 다만 모두 90분가량 편성으로, 2부에 기획 보도를 한다는 점이 다르다. SBS도 이러한 확대 편성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중간광고 확대가 뉴스 공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PCM으로 재원은 늘리면서 콘텐츠 질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비판도 나온다. 문화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24일 “중간광고를 전면 허용해도 ‘언 발에 오줌 누기’인데 메인뉴스 중간광고는 반짝 효과에 그치고 사회적 비난과 시청자 불만을 초래할 것”이라며 철회를 촉구했다. 한국신문협회도 지난 28일 방송통신위원회에 전달한 의견서에서 “갈수록 프로그램 쪼개기 횟수와 장르 제한이 무너져 PCM이 무분별하게 난립하고 있다”며 “지상파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국민 시청권과 이익에 반하는 편법 행위”라고 밝혔다.

이문행 수원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뉴스는 신뢰가 생명이고 언론사도 이러한 정보를 통한 수익으로 지탱된다”며 “뉴스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는 상황에서 PCM 전면 도입은 신뢰도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0-07-30 2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