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회 공초문학상] “미덥게 펼쳐진 순수회귀의 시학”

[제28회 공초문학상] “미덥게 펼쳐진 순수회귀의 시학”

입력 2020-06-24 21:30
업데이트 2020-06-25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사평

자유와 허무, 방랑의식과 민족혼을 처연한 감성과 큰 스케일로 노래했던 공초 오상순 선생의 시적 위의(威儀)는 오늘날 한없이 왜소해지고 사사로워진 우리 삶의 성찰적 역상(逆像)이 되어주기에 족하다.

선생을 기리는 공초문학상 제28회 수상자로 선정된 오탁번 시인은 이러한 공초 선생의 면모에 최대한 부합하는 자유로운 상상력과 활달한 언어 그리고 인간과 자연을 실물적으로 포착하고 재현하는 능숙한 역량으로 이미 우리 문학사의 고전이 된 분이다. 그의 시세계는 기억 속의 유년과 고향에서 시작하여, 가장 순수한 원형을 간직한 ‘원서헌’ 근처의 생명들을 보살피고 어루만져온 과정을 담아낸 것이었다.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우리 기층언어에 대한 지극한 헌신을 이루어낸 시집 ‘알요강’(2019)은 이러한 만유 공존의 상상력을 극점에서 드러낸 명품이다. 거기 실린 수상작 ‘하루해’는 ‘하루해’ 아래서 때로 부지런하고 때로 느리게 움직여가는 자연의 풍경을 부조하면서도 “낮곁 내내/보행기 미는 노인 한 둘”을 대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더디게 스러져가는 삶을, 쓸쓸하지만 환하고, 비어 있지만 가득한 삶의 역리(逆理)로 노래하고 있다. 오탁번만의 천진성과 반(反)근대적 시법이 다시 한번 확인되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그야말로 순은(純銀)이 빛나는 아침으로부터 뉘엿하게 기울어가는 해거름까지, 하루해의 시간을 근원적 시선으로 발견한 순수 회귀의 시학이 미덥게 펼쳐진 것이다.

심사위원 이근배·유자효 시인, 유성호 문학평론가



2020-06-25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