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전 단 한 권의 시집도 내지 않았지만 후대가 길이 기린다. 불교의 공(空)을 초월하고자 지은 ‘공초’(空超)라는 호 대신 지인들은 애연가인 그를 ‘꽁초’라고 불렀다. 한국 근대시의 개척자 오상순(1894~1963) 시인이다. 시인은 1920년대 한국 신시운동의 선구가 된 ‘폐허’의 동인으로 활동했다. ‘허무혼의 선언’, ‘방랑의 마음’ 등 50여편의 시를 썼다. 그의 시는 고독, 허무를 넘어 삼라만상을 아우르는 광대한 철학으로 나아간다. 1926년 작품 활동을 그만두고 부산 범어사에 입산, 불교와 인연을 맺었다. ‘공초’라는 호는 이 무렵부터 나왔다. 평생을 혈육도, 집도 없이 독신으로 무욕의 삶을 살았다. 대한민국예술원상(1959), 서울시문화상(1962)을 수상했다. 1992년 공초숭모회와 서울신문사는 무소유를 실천한 그를 기려 공초문학상을 제정했다. 1993년 첫 수상자를 낸 공초문학상은 등단 20년 차 이상의 중견 시인들이 최근 1년 이내에 발표한 작품 중에서 수상작을 고른다. 신경림, 정호승, 신달자, 유안진, 나태주 등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들이 역대 수상자가 됐다. 시상식은 25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20층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열린다.
2020-06-25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