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금영측우기’ 국보 된다

조선 ‘금영측우기’ 국보 된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12-30 22:58
업데이트 2019-12-31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 선화당·창덕궁 측우대도 승격 예고

이미지 확대
공주감영 측우기(보물 제561호)
공주감영 측우기(보물 제561호)
전 세계 유일하게 현존하는 조선 과학기술의 상징인 측우기(測雨器)가 국보가 된다.

문화재청은 기상청에 있는 보물 제561호 ‘금영 측우기’를 ‘공주감영 측우기’라는 이름으로 바꿔 국보 승격한다고 30일 예고했다. 강수량을 재는 측우기는 조선왕조실록 세종 24년(1442) 기록에 “쇠를 주조하여 기구를 만들어 명칭을 측우기라 하니, 길이가 1자(尺) 5치(寸)이고 직경이 7치”라고 나온다. 현대식으로 환산하면 높이 31.9㎝, 지름 14.9㎝, 무게 6.2㎏이다. 이렇게 만든 측우기를 전국 감영에 보낸 것으로 전해진다.

국보로 승격하는 측우기는 충남 공주감영(금영)에 설치한 것으로, 헌종 3년(1837)에 만들었다고 새겨져 있다. 일본인 기상학자 와다 유지가 1915년 반출했다가 1971년 한국에 돌아왔다. 측우기를 놓는 받침인 측우대는 전국에 모두 4대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 가운데 설치 연대와 장소가 확실한 기상청 소장 ‘대구 선화당 측우대’(보물 제842호)와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창덕궁 측우대’(보물 제844호)도 ‘대구감영 측우대’,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로 이름을 각각 변경해 국보 승격을 예고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2-31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