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은 하루하루가 달라… 기록이라도 남겨야죠”

“공연은 하루하루가 달라… 기록이라도 남겨야죠”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5-07 22:02
업데이트 2019-05-08 0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주년 기록전 극단 산울림 임영웅 대표

서교동 마련한 공연장 인연 마포서 기획
대표작 ‘고도를 기다리며’ 희귀 자료 전시
개막 행사 손숙·이순재 등 연극인 총출동
윤석화 “빈대떡 부쳐주던 아버지 같은 분”
이미지 확대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린 자신의 기록전 개막 행사에 휠체어를 타고 참석한 극단 산울림 임영웅(왼쪽) 대표와 맏딸인 임수진 극장장. 마포문화재단 제공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린 자신의 기록전 개막 행사에 휠체어를 타고 참석한 극단 산울림 임영웅(왼쪽) 대표와 맏딸인 임수진 극장장. 마포문화재단 제공
“대본은 출판이 되지만, 공연은 기억에만 남죠. 그래서 뭐라도 남겨 놓아야 그나마 당시 모습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올해로 창단 50주년을 맞은 극단 산울림의 임영웅(83) 대표는 7일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시작한 ‘연출가 임영웅 50년의 기록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임 대표는 기록전을 앞두고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영화는 한번 만들어 놓으면 똑같이 복제하는 게 가능하지만, 공연은 하루하루가 다르다”며 연극인들에게 기록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이번 기록전은 마포문화재단의 ‘마포예술인시리즈’ 기획으로 마련됐다. 산울림 소극장이 마포구 서교동에 위치한 게 인연이 됐다. 1985년 임 대표와 오증자 전 서울여대 교수 부부가 홍대 앞 자택을 허물고 세운 산울림 소극장은 이제 한국 연극사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임 대표는 “사실 지역적으로 극장이 다 모여 있는 대학로에 건물을 짓는 게 유리했겠지만, 당시 우리 부부가 홍대 앞에 살고 있었고, 극장, 연습장, 살림할 집이 모두 필요했다”면서 “아무래도 마포에도 대학교가 많으니 특별한 문화권이 되지 않겠느냐는 기대도 있었다”고 소회했다. 그는 이어 “지역 예술단체가 주민들에게 지역예술인을 소개하면 문화생활이 풍성해지고 예술인들끼리 네트워크도 형성된다”면서 “문화에 대한 문턱을 낮추고,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도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록전에서는 임 대표의 연출 인생 50년을 집약하는 포스터와 공연 사진, 수상 트로피, 작품에 참여한 배우 사진 등 실물 자료 30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임 대표가 한국에 처음 소개한 현대 연극의 문제작이자 산울림의 분신과도 같은 ‘고도를 기다리며’의 1988년 영상본과 당시 신문기사 등 희귀 자료도 눈길을 끈다.

이날 기록전 개막 행사에는 임 대표를 비롯해 배우 손숙, 이순재, 전무송, 윤석화, 연출가 손진책 등 연극인들이 총출동했다. 배우 윤석화는 참석자들을 대표한 축사에서 “임 대표와 10여편을 함께 작업했는데, 낮 공연과 저녁 공연 사이에 빈대떡을 부쳐주시곤 했다”면서 “저에게는 아버지 같은 분이고, 한 예술가의 긴 여정을 전시회를 통해 기억한다는 것은 감사한 일”이라고 말했다. 마포문화재단은 임 대표에게 마포에 거주하는 예술인들에게 각종 혜택을 제공하는 아트패스마포 1호 회원증도 전달했다.

이번 기록전은 오는 25일까지 계속된다. 또 명동예술극장에서는 9일부터 6월 2일까지 한국 초연 50주년을 맞은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가 무대에 오른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5-0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