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궐 정전 ‘창경궁 명정전’ 내부 처음으로 개방

조선시대 궁궐 정전 ‘창경궁 명정전’ 내부 처음으로 개방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9-03-04 12:04
업데이트 2019-03-04 1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존하는 조선시대 궁궐 정전(正殿)으로는 가장 오래된 창경궁 명정전 내부가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국보 제226호 창경궁 명정전과 국보 제225호 창덕궁 인정전의 내부 관람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궁궐 내 으뜸 전각인 정전은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 접견 등 나라의 중요한 공식적인 행사를 치르던 곳이다. 정전 내부에는 임금이 앉는 자리인 어좌(御座)가 마련되어 있고 그 뒤로는 임금이 다스리는 삼라만상을 상징하는 해와 달,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병풍 등이 있다.

지금까지는 문화재 훼손 우려와 안전관리 등의 이유로 개방하지 않았으나 정전 내부 정비와 안전요원 배치 등을 통해 이번에 관람을 실시하게 됐다.

창경궁 명정전 내부관람은 새달 2일부터 5월 31일까지, 10월 2일부터 11월 29일까지 매주 화∼금요일에 하루 13회씩 운영한다. 참가희망자는 당일 현장에서 바로 참여 가능하며 30인 이상 60인 이하 단체는 최소 3일 전에 전화로 예약해야 한다.

창덕궁 인정전은 지난해 특별관람에 이어 이달 6∼30일과 11월 6∼30일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에 하루 4회만 내부를 관람할 수 있다. 참가희망자는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접수를 신청하면 된다. 1회당 입장 인원은 30명으로 제한되며 비가 올 때는 문화재 보호를 위해 내부관람이 취소된다.

궁능유적본부는 앞으로도 경복궁 근정전 내부관람(8월 계획) 등 평소 접근이 제한되었던 궁궐 전각 내부를 지속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