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해고’ KBS 피디 “전태일 이야기를 방송으로 만들면서…”

‘부당 해고’ KBS 피디 “전태일 이야기를 방송으로 만들면서…”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0-11-23 16:57
업데이트 2020-11-23 16: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달 뒤 폐지 예정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계약직 노동자 20여명 해고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유튜브 화면 캡처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유튜브 화면 캡처
한달 뒤 폐지 예정인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에서 일했던 프리랜서 프로듀서가 유튜브를 통해 공영방송의 민낯을 보았다고 주장했다. 다음달 13일이 ‘저널리즘 토크쇼 J’의 마지막 방송으로 알려졌다.

‘저널리즘 토크쇼 J’의 19회 방송 ‘사법농단’ 편부터 합류해서 2년간 일했다는 정주현 피디는 23일 KBS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부당한 계약 종료(사실상 해고 통보)를 고발했다.

정 피디는 프로그램 개편을 앞두고 20명 남짓 계약직 노동자들이 한달 뒤 모두 일자리를 잃게 된다고 밝혔다.

정 피디는 “요즘같은 시대에 비정규직 노동자의 부조리한 해고 사례가 비단 저희의 이야기만이 아니어서 딱히 더 억울해할 염치도 없다”면서 “부당한 계약 종료 사실을 알려야겠다고 마음먹은 이유는 제가 일했던 곳이 대한민국 최고의 방송국 KBS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KBS가 노동자 정신의 근간인 전태일 열사 이야기를 방송으로 만들며, 그 방송을 만드는 노동자들을 부당하게 해고하는 구조적 모순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이어 KBS에서 일하면서 어떠한 방송도 믿지 않게되는 기괴한 아이러니를 겪었다면서 프로그램 존폐 여부에 시청자의 사랑과 그 뒤에서 밤낮으로 노력한 제작진은 하나도 고려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언론 환경을 바로잡겠다는 취지로 제작된 ‘저널리즘 토크쇼 J’는 저조한 시청률 외에도 편향성 논란이 이어졌다.

‘친조국 인사’인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이 출연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보도를 비평하는 등 공정성 논란도 제기됐다.

정 피디는 “방송이 없어지면 잠깐 이슈가 되겠지만 또 늘 그랬던 것처럼 세상은 아무일 없다는 듯 돌아갈 것”이라면서도 “더 열악한 환경에서 노동하고 있는 이들에게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다”는 소망을 남겼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