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 은허리띠 ‘풀세트’…1500년 전 신라 무덤 주인은 누구십니까

금동관, 은허리띠 ‘풀세트’…1500년 전 신라 무덤 주인은 누구십니까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9-03 16:12
업데이트 2020-09-03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 고분서 전신 착용 장신구 한꺼번에 나와
지난 5월 금동신발 출토, 왕족·귀족 무덤 추정
신장 170cm 추측, 작은 칼 등 미뤄 여성일 듯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과 금드리개, 금귀걸이 등 머리 부분 장신구들.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과 금드리개, 금귀걸이 등 머리 부분 장신구들. 문화재청 제공
지난 5월 금동신발이 나왔던 경북 경주 황남동 고분에서 금동관, 금귀걸이, 은허리띠 등 1500여년 전 신라인이 치장한 귀금속 유물들이 추가로 발굴됐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무덤 주인이 전신에 착용한 장신구 일체가 한꺼번에 출토된 것은 1974년 황남대총 발굴 이후 46년 만이다.

문화재청은 3일 황남동 120-2호분에서 드러난 장신구들을 매장된 형태 그대로 공개했다. 금동관은 관테(관을 쓸 수 있게 만든 띠)위에 3단의 나뭇가지 모양 세움장식 3개와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2개를 덧붙인 형태다. 관테에는 뒤집힌 하트 모양의 장식용 구멍이 있고, 곱은옥과 금구슬로 만든 금드리개가 양쪽에 달렸다.

관테와 세움 장식 사이에 있는 투조판의 용도에 관심이 쏠린다. ‘T’자 맞새김 무늬로 뚫린 투조판을 관모로 사용했다면 경주 돌무지덧널무덤에선 관과 관모를 동시에 착용한 첫 사례가 된다. 반면 금동관을 장식하는 용도라면 기존에 출토된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관으로 볼 수 있다. 문화재청은 “현재까지 경주 고분에서 나온 신라 금동관 가운데 가장 화려하다”고 설명했다.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출토된 은허리띠와 은팔찌, 은반지 노출 모습.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출토된 은허리띠와 은팔찌, 은반지 노출 모습. 문화재청 제공
무덤에선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 귀걸이 1쌍과 남색 구슬을 4줄로 엮어 만든 가슴걸이도 확인됐다. 그 아래로 은허리띠와 4점이 한묶음인 은팔찌와 은반지가 드러났다. 오른팔 팔찌 주변에 크기 1㎜ 안팎의 노란색 구슬이 500점 넘게 출토됐는데, 이 구슬로 만든 팔찌를 은팔찌와 함께 찼던 것으로 추정된다.

은반지는 오른손에서 5점, 왼손에서 1점이 나왔다. 왼손은 완전히 노출되지 않아 앞으로 조사에서 은반지가 더 나올 것으로 보인다. 천마총 주인처럼 열 손가락에 모두 반지를 꼈을 가능성이 있다.

금동신발은 ‘T’자로 뚫린 앞판과 달리 뒤판은 무늬를 새기지 않은 사각 방형판으로 확인됐다. 1960년 의성 탑리 고분에서 비슷한 형태의 금동신발이 출토됐었다.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관과 신발은 실생활에 사용하던 것이 아니라 죽은 이를 장사지내어 보내는 의례용으로 알려져 있다.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지난 5월 출토된 금동신발.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2호분에서 지난 5월 출토된 금동신발.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금동신발이 나왔을 때 무덤 주인을 왕족이나 귀족층 최상위 계급으로 추정했었다. 이번 발굴 조사에서 다량의 금붙이와 은으로 만든 유물이 출토되면서 그런 가능성에 한층 무게가 쏠린다. 금동관 중앙부에서 금동신발 금동신발 뒤꿈치까지 길이가 176㎝인 것으로 미뤄 망자의 키는 170㎝ 안팎일 것으로 짐작된다.

발굴 조사를 진행한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김권일 선임연구원은 “귀걸이의 고리가 크고 허리춤에 큰 칼이 아닌 작은 칼이 놓인 점, 부장칸에서 청동다리미가 발굴된 것 등으로 보아 무덤 주인은 여성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한상 대전대 교수는 “고분에서 전신에 착장한 장신구 일체가 온전한 형태로 발굴된 건 드문 일”이라며 “신라인이 망자를 어떻게 치장했는 지 장례 풍습을 파악할 수 있는 귀한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황남동 201-2호분 매장부 전체 모습. 문화재청 제공
황남동 201-2호분 매장부 전체 모습. 문화재청 제공
망자가 착용하는 장신구 위치와 명칭. 문화재청 제공
망자가 착용하는 장신구 위치와 명칭.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과 경북도, 경주시는 신라왕경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2018년부터 황남동 120호분을 발굴 조사하고 있다. 유물이 나온 120-2호분은 120호분의 봉토 일부를 파고 축조했다. 아직 미발굴된 120호분과 120-1, 2호분 주인은 혈연 관계로 추정된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날 코로나19 재확산 방지 차원에서 지금까지 문화재 관계자와 언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현장 설명회 대신 유튜브로 발굴 성과를 실시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온라인 현장 설명회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