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핸 ‘다른 이야기’ 들려주는 손열음의 평창대관령음악제

올핸 ‘다른 이야기’ 들려주는 손열음의 평창대관령음악제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5-28 15:26
업데이트 2019-05-28 15: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월 31일부터 8월 10일까지 열려

이미지 확대
서울 신사동의 한 문화공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평창대관령음악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손열음(왼쪽) 예술감독과 김성환 강원문화재단 이사장.-강원문화재단 제공
서울 신사동의 한 문화공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평창대관령음악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손열음(왼쪽) 예술감독과 김성환 강원문화재단 이사장.-강원문화재단 제공
올해로 16회째를 맞는 평창대관령음악제가 7월 31일부터 8월 10일까지 평창 알펜시아 콘서트홀 등 강원 일대에서 열린다.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예술감독을 맞은 지 두 해째가 되는 음악제로, 올해는 ‘다른 이야기’라는 주제로 12회의 메인콘서트 등을 선보인다. 손열음은 28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가 앞으로 무엇을 해나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었다면 올해는 그것을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를 생각하다가 이 같은 주제를 정했다”고 말했다.

러시아 작곡가인 로디온 셰드린의 ‘세 목자’와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등을 연주하는 31일 개막공연을 시작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클래식음악방송 시그널인 크라이슬러 ‘타르티니풍의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 등을 담은 8월 1일 ‘끝은 어디’ 공연 등이 이어진다. 해외 유명 악단에서 활약하는 한국 출신 연주자들이 함께 모이는 ‘페스티벌 오케스트라’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차례 공연한다. 손열음은 “지난해와 비교해 프로 악단에서 활동하는 연주자들이 훨씬 더 많이 참여한다”고 소개했다.

특히 이번 음악제부터는 학생들이 참여해 왔던 ‘음악학교’를 마스터클래스와 ‘올해의 선택’(MPyC‘s Pick), ‘내일의 오케스트라’ 등 3개 프로그램으로 확대 운영한다. 캠프 형태로 운영되던 방식을 자유롭게 참가·참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동안 1인당 200만원 수준이었던 참가비도 전액 무료화한다. 마스터클래스는 이번 음악제에 참가하는 아티스트 20명이 강사로 나서 총 60회 진행한다. ‘내일의 오케스트라’는 페스티벌오케스트라의 수석 연주자들이 강원 지역 6개 학교 오케스트라를 찾아가 직접 지도하고 음악제에서 특별 콘서트도 연다. 손열음은 “지난해까지 진행한 음악학교는 신청 과정 등이 복잡했는데 올해는 이를 간소화하고 더 많은 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고 소개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