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실록은 연출 사진…승정원일기는 무편집 필름”

“조선실록은 연출 사진…승정원일기는 무편집 필름”

입력 2016-06-03 20:36
업데이트 2016-06-03 2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고전번역원 김태훈 팀장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를 한글로 번역하는 팀원들은 번역계의 ‘후설’(喉舌·목구멍과 혀)들이다. 조선 시대 왕명 출납을 맡은 승정원의 별칭이 후설이기 때문이다. 많은 신체기관 중 목구멍과 혀가 승정원의 별칭이 된 것은 승지들이 임금의 목구멍과 혀가 돼 임금의 말과 행동을 그대로 옮겼기 때문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김태훈 한국고전번역원 팀장
김태훈 한국고전번역원 팀장
1994년 이후 20여년간 진행된 승정원일기 번역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승정원일기번역팀의 김태훈(46) 팀장을 만났다.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 승정원일기의 차이는 무엇인가.

-조선왕조실록과 임금의 일기인 일성록이 ‘연출된 스틸사진’이라면 승정원일기는 편집되지 않은 ‘영화필름’ 같다. 조선왕조실록과 일성록은 사안별 결과와 내용이 요약된 형태이지만, 승정원일기는 사안의 처음부터 끝까지 현장에서 기록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딱 한 줄로 언급된 게 승정원일기에서는 몇 페이지에 걸쳐 기록되기도 한다.

→2001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이후 15년을 맞았는데, 현재 번역 중인 부분은 어디인가.

-영조 8~10년을 하고 있다.

→영조대 승정원일기는 이전 시기와 다르다는데.

-인조부터 경종까지는 화재로 소실된 것을 복원한 것이지만 영조대는 그 자체가 원본으로 승정원일기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다.

→승정원일기 번역자는 모두 몇 명인가.

-한국고전번역원 내부 번역자 11명과 외부 역자 45명으로 모두 56명이 하고 있다. 1인당 하루 한자 원문 420자, 한 달 8400자(200자 원고지 150장) 분량이다. 매년 2~3년치 분량이 번역된다고 보면 된다.

→완역하는 데 얼마나 걸릴까.

-현 추세라면 영조대 번역에만 앞으로 15년이 걸린다. 제가 정년퇴직할 때 영조대 번역이 끝난다. 전체 완역은 45년 뒤인 2060년으로 예상한다.
2016-06-04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