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여년 버려진 절터서 ‘기적’이 일어났다

1000여년 버려진 절터서 ‘기적’이 일어났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6-02 22:52
업데이트 2016-06-03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척 흥전리서 청동정병 발굴

현재 국보·보물 모두 고려작품
높이 35㎝의 검은색 승려 물병
녹슬거나 깨진데 한 곳 없어
中 모방 아닌 우리 양식 제작


이미지 확대
1200년을 온전한 모습으로… ‘국보급’ 통일신라 청동정병 2점 출토
1200년을 온전한 모습으로… ‘국보급’ 통일신라 청동정병 2점 출토 강원 삼척시 흥전리 절터에서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약 35㎝의 청동정병 2점이 나왔다. 출토지와 연대가 명확하고 완벽한 형태를 유지해 국보급 유물로 평가받는다.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1200년을 온전한 모습으로… ‘국보급’ 통일신라 청동정병 2점 출토
1200년을 온전한 모습으로… ‘국보급’ 통일신라 청동정병 2점 출토 문화재청이 2일 공개한 출토 당시의 현장 모습.
문화재청 제공
강원 삼척시 매봉산 남쪽 흥전리 해발 717.7m 허허벌판에서 지난달 18일 불교문화재연구소 문화재 발굴 요원들이 사지(寺址·절터) 표면 아래 35㎝를 파고들어 갔을 때였다. 검은색 물체가 햇살에 반짝거렸다. 요원들은 숨을 죽었다. 조심스럽게 주위의 흙을 파냈다. 파손되지 않은 온전한 청동정병이 나왔다. 5㎝를 더 파고들자 또 하나의 청동정병이 나왔다. 두 점 모두 9세기 통일신라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됐으며 높이는 35㎝였다. 1000년 넘게 버려진 절터에서 기적이 일어난 순간이었다.

박찬문 불교문화재연구소 유적연구실 팀장은 2일 흥전리 발굴 현장에서 “광복 이후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정병 중 가장 완벽한 형태의 국보급 유물”이라며 “녹슨 데도 없고 깨진 데도 한 곳 없이 온전한 형태로 발견된 건 기적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정병은 승려들이 정수(淨水)를 담는 물병으로, 승려가 몸에 지니고 다니던 필수품이자 부처·보살 앞에 정수를 올리는 공양구이기도 하다. 청동정병은 불교가 융성한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주로 제작됐다. 현재 국보·보물로 지정된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제92호),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국보 제92호),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 제344호) 등 3점은 모두 고려시대 작품이다.

통일신라시대 청동정병은 2009년 경북 군위 인각사 발굴조사에서 일부 훼손된 상태로 출토된 2점과 일제 강점기 충남 부여 부소산에서 공사 중 나온 1점뿐이다. 문화재전문위원인 최응천 동국대 교수는 “이번에 나온 정병 2점은 출토지와 연대가 명확하다. 그동안 인각사에서 나온 8세기 후반 정병 이후 고려 초기까지 발견된 정병이 없었다. 이번 정병은 그 사이 200년을 메워 주는 연결고리로,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요소가 공존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각사 정병은 중국 양식을 그대로 본뜬 것으로 중국 정병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는 반면 이번에 출토된 정병은 통일신라시대 우리 기술로 만든 가장 한국화된 작품”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흥전리 절터는 2014년부터 발굴 작업을 해 오고 있다. 옛 절터의 실체와 역사적 가치를 규명하고 체계적 보존·관리·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가 2010년부터 전국 5400여개 절터에 대해 실시하고 있는 현황 조사의 일환이다. 흥전리 사지에선 그동안 금당지(金堂址), 탑지(塔址) 등 주요 가람시설이 확인됐다. 특히 통일신라시대 국왕의 고문 역할을 한 승려인 ‘국통’(國統)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비문 조각과 화려한 장식의 금동번(깃발)이 출토되기도 했다.

삼척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6-03 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