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번역원 ‘사필-사론으로 본 조선왕조실록’ 출간
조선 시대에는 지금과 같은 지반침하 현상인 ‘싱크홀’을 문자 그대로 땅이 꺼졌다는 뜻의 ‘지함’(地陷)으로 불렀다. 조선왕조실록에 하늘이 무너졌다는 기록은 없어도 땅이 꺼졌다는 기록은 종종 보인다. 세종 18년(1436년) 12월 황해도 황주에서 발생한 지함은 너비 1m, 깊이 21m였고, 세종 21년(1439년) 5월 해주에서 보고된 지함은 너비 1.5m, 깊이 9m에 달했다. 지함이 발생하면 해당 지역 수령은 조정에 보고하고, 국왕은 괴이한 천재지변이 발생했을 때 지내는 ‘해괴제’라는 제사를 통해 천지신명의 분노를 달래도록 했다.“천재지변이 닥치자 임금과 신하가 그럴 듯한 말을 하며 서로 경계하기는 했지만 형식적으로 옛일을 따라한 것일 뿐이다. ? 임금과 신하 모두가 고민조차 하지 않고, 덕을 닦아 일을 바로잡아야 한다느니 두려워하고 반성하겠다느니 하는 공허한 말만 하면서 재변이 사라지기를 바랐으니, 참으로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겠는가?”
조선 시대 사관들의 주관적인 논평인 ‘사신왈’(史臣曰) 혹은 ‘사신논왈’(史臣論曰) 등으로 시작하는 사론(史論)을 읽기 쉽게 풀어 쓴 ‘사필-사론으로 본 조선왕조실록(사진)’이 한국고전번역원에서 30일 출간됐다.
사론은 조선 전기 실록에만 3400여건이 실렸는데 절반 이상인 약 57%가 인물에 대한 논평이었다. 정종 1년(1399년) 1월 지경연사 조박은 “사관은 임금의 선악을 기록하여 영원히 남기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아뢸 정도로 국왕으로서는 여간 신경 쓰이는 의견이 아닐 수 없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한문학자 8명이 쓴 이 책은 실록 속에 다양한 사안을 논평한 사론들을 주제별로 나눠 38건을 싣고, 편마다 관련 배경과 사건, 삽화를 현대적으로 구성해 재미를 더했다.
한편 한국고전번역원은 다음달 1일부터 우리 고전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고구마’(고전에서 구하는 마법 같은 지혜)를 무료로 배포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