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지킴이’를 찾아서] “구암동 고분 문화재 지정될 때까지 봉사 올인!”

[‘문화재지킴이’를 찾아서] “구암동 고분 문화재 지정될 때까지 봉사 올인!”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4-26 00:46
업데이트 2016-04-26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 유산 사랑’ 대구 구암동 주민들

주민이 살고 있는 지역 인근의 문화유산을 문화재로 지정하는 건 쉽지 않다. 문화재 지정 주변 지역은 개발이 어려워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일반적인 인식을 뒤집은 지역민들이 있다. 대구 북구 함지산 자락 구암동 고분군 인근 주민들이다. 이들은 지역 문화유산을 지키려는 마음으로 똘똘 뭉쳐 구암동 고분군 문화재 지정에 앞장서고 있다. 구암동 일대에서 확인된 고분은 346기로 대구 지역 최대 규모다. 1975년 한 차례 발굴된 이후 40년 가까이 방치돼 왔다.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동안 도굴로 훼손된 고분도 적지 않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간 발굴 조사한 ‘구암동 1호분’. 문화재청 제공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간 발굴 조사한 ‘구암동 1호분’.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자원봉사대를 꾸려 구암동 고분군 지키기에 나선 주민들. 문화재청 제공
자원봉사대를 꾸려 구암동 고분군 지키기에 나선 주민들.
문화재청 제공
존재가 희미해졌던 고분은 향교 어르신들의 관심과 노력으로 지역사회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향교 어르신들이 발굴 조사도 다시 하고 문화유산으로 잘 보존하자며 지역민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낸 것이다. 주민들은 지난해 여름부터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대를 꾸려 ‘고분 지키기’에 나섰다. 고분군 주변 나무와 풀을 제거해 고분의 모습을 하나씩 되살리고 있다. 한 주민은 꽃집으로 사용하던 비닐하우스를 ‘구암동 고분 홍보관’으로 개장해 지역 안팎에 고분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있다.

영남문화재연구원도 지역민들의 여망을 실현시키고자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간 구암동 1호분 발굴 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삼국시대 봉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돌무지덧널무덤)과 달리 적석석곽분(積石石槨墳·돌무지돌덧널무덤)인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원은 “영남 지역에선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특이한 구조를 보여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금동제귀고리를 비롯해 다량의 토기도 출토됐다.

주민들은 “고분군 내에 산소나 밭이 있는 주민들도 흔쾌히 문화재로 지정되는 데 찬성했다”면서 “우리 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문화재로 지정돼 후대에 잘 전해졌으면 한다”고 입을 모았다. 문화재청은 “일부 지역은 문화재로 지정하려 하면 주민들이 싫어하는 경향이 있는데, 구암동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문화재로 지정되길 원한다”면서 “해당 구청과 대구시를 거쳐 문화재청으로 문화재 지정 신청서가 접수되면 지정 가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4-26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