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영 “영화 통해 사람들 분노 결집”

공지영 “영화 통해 사람들 분노 결집”

입력 2011-09-29 00:00
업데이트 2011-09-29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도가니’ 사회적 파장 관련 인터뷰”사회복지사업법 개정안 통과.아동 성폭력 처벌 강화해야”

영화 ‘도가니’의 원작자 공지영(48) 소설가는 흥행 돌풍과 함께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이 영화와 관련, “사람들의 분노가 영화를 통해 결집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공 작가는 29일 연합뉴스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사람들은 지난 몇 년 동안 승자독식이 이뤄지는 우리 사회를 보고 분노했지만 양상은 파편화돼 있었다”며 “그런데 영화에서 약한 아이들까지 짓밟히는 것을 접하고는 분노가 결집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영화를 본 사람들이 많은 말을 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느꼈다”며 “나의 분노가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사람들이 더욱 목소리를 높이는 것 같다. 또 사람들이 ‘나도 언젠가는 저런 약자가 될 수 있다’고 느낀 것 같다”고 덧붙였다.

공 작가의 2009년 원작 소설을 토대로 한 영화 ‘도가니’는 광주 인화학교에서 벌어진 원생 성폭행 사건을 소재로 삼고 있다.

그는 “신문 기사에서 인화학교 이야기를 접한 뒤 당시 준비하던 소설을 접고 취재하러 광주로 내려갔다”며 “그곳에서 영화의 마지막 장면처럼 절망에 빠져 있던 아이들을 만났다”고 전했다.

이어 “아이들과 이야기하면서 내가 꼭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나에게 마음을 열고 이야기해 준 아이들에게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소설로 세상에 알리겠다고 나와 약속했다”고 소설을 쓴 계기를 설명했다.

개봉 전부터 관심을 끈 영화 ‘도가니’는 청소년관람불가 등급을 받았다는 약점에도 2주째 흥행 1위를 질주하고 있다. 재조사 요구와 함께 ‘솜방망이 판결’을 한 법원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등 사회적 파장도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공 작가는 ‘도가니 신드롬’의 원인에 대해 “지난 2~3년 동안 지도층의 부패와 청문회의 거짓말 등이 쏟아지는 등 인권이 후퇴해 사람들이 분노를 느껴왔다”며 “여기에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가 활성화되면서 부글부글 끓는 감정을 폭발적으로 폭로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공 작가는 이 같은 사회 분위기가 법과 제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7년 부결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안이 통과돼야 하며 아동 성폭력에 대한 처벌은 더욱 강하게 해야 한다”며 “아동 성폭력이 한 개인에게 끔찍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입증됐음에도 여전히 정신 나간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잘 이뤄진 유럽을 예로 들며 “장애인과 관련한 법률과 제도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며 “약육강식만 강조할 게 아니라 장애인 등 약자에 대한 배려가 이뤄져야 한다. 이런 교육에는 큰돈을 들일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소설 속 성폭력 장면 묘사가 잔인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묘사를 하지 않고 그냥 말로 전달했다면 사람들이 매일 신문 기사를 접하듯 눈 하나 깜짝하지 않았을 것이고 감동도 받지 않았을 것”이라며 “사실 실제 상황은 더욱 지저분했는데 소설에 모두 쓰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 작가는 “올여름부터 새 소설을 쓰려고 했는데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며 “약한 아이들이 아직도 울고 있는 상황에서 편하고 행복하게 사랑 이야기를 쓸 수는 없기 때문”이라고 근황을 전했다.

그러면서 “내가 조금이라도 힘을 보태서 관련 법률이 개정되고 사회에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다면 무척 행복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