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세계번역가대회 열어보니…한국문학 해외진출 필요조건 꼽혀

제5회 세계번역가대회 열어보니…한국문학 해외진출 필요조건 꼽혀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쾌한 문장 보편적 주제

‘한국 문학 해외진출 10년을 말하다, 그리고 그 이후’를 주제로 토론한 제5회 세계번역가대회가 한국문학번역원 주최로 22~23일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문열, 은희경, 이호철 등 한국의 작가와 학자, 번역가 등이 참여했다. 한국 문학을 번역했던 해외 번역가들이 공통으로 이야기한 주제 가운데 하나는 “시장논리로만 보면 현시대 한국 문학의 특성을 보편성 있는 현대적 필체로 드러내는 작품들을 먼저 집중적으로 소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미지 확대
독일의 문학담당 기자 카타리나 보르하르트는 “유럽에서 번역된 한국 문학은 대부분 원로 남성 작가의 작품으로 일면적이고 퀴퀴한 냄새를 풍겼다.”며 “6·25와 분단과 관련한 ‘문제의 책들’이 너무 많이 출간됐는데, 외국에서 한국 문학의 이미지가 음울함과 정치적 도덕으로 점철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의 브루스 풀턴 교수는 “영어권에서 한국 현대문학 번역작 가운데 ‘엄마를 부탁해’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빼면 상업 출판사를 통해 발행된 작품이 사실상 없다.”며 “2002년 출간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잠깐 반짝’한 데 비해 문학적 완성도가 더 높다 할 수 없는 ‘엄마를 부탁해’가 상업적으로 성공한 것은 문학 소설 시장이 도무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영희 한국문학번역원 프랑스어권 번역가는 “프랑스에서는 1970~80년대에 한국전쟁을 위주로 한 소설이 주로 소개된 탓에 이후 10년 동안 진출에 애를 먹었다.”며 “보편적 주제로 어느 나라에서도 통할 수 있는 서사 구조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설가 김영하를 예로 들며, 문장이 명쾌하고 쉬운 데다 보편적 주제에 판타지와 현실을 뒤섞는다는 점에서 해외 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실제 김영하는 “집필할 때 항상 번역가를 생각한다. 내 작품을 번역할 그, 혹은 그녀의 입장에 서고자 한다. 그것이 바로 내가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글을 쓰는 이유”라고 말해 폴란드의 출판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작가 이문열은 “이전에는 한국 독자만 생각하고 글을 썼는데 이제는 인식과 문화를 달리한 독자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반면 은희경은 “외국 독자를 의식해서 쓰는 것은 무의미하며 작품에만 신경을 쓰고 싶다.”며 “나는 세계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글을 쓴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임영희씨는 2004년 김진경의 판타지 아동문학 ‘고양이 학교’를 프랑스에 소개하여 2006년 앵코립티블 아동문학상을 받는 등 상업적 성공과 함께 좋은 평가도 받았다. 그는 “작품 선택권과 번역자 선택을 현지 외국 출판사에 맡기고 소설보다 번역에 시간이 덜 걸리는 아동문학을 지원하는 것이 한국 문학 세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9-2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