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조선 양반 책벌레였다면

그 조선 양반 책벌레였다면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성옥 ‘책들의 정원’전

책거리 그림은 원래 조선시대 병풍에 많이 쓰였다. 책장에 붓, 필통, 도장, 찻잔 같은 귀한 물건들을 올려 놓은 장면을 그려 넣었다.

정물화가 부르주아 소유욕의 발현이라는 평가가 있는 것처럼, 책거리 그림 역시 조선 양반들의 욕망을 반영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책거리 10폭
책거리 10폭


이 책거리 그림을 현대에 되살린 동양화가 정성옥(52) 작가의 개인전 ‘책들의 정원’이 28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서울 견지동 목인갤러리에서 열린다.

평범한 가정주부였던 작가는 취미 삼아 민화를 배우다 책거리 그림으로까지 발전했다. 2006년 첫 개인전에서 그간 작업해 왔던 책거리 그림을 처음 세상에 공개했다.

전시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책거리 그림에 민화적 요소를 결합시켰다는 점이다. 책뿐 아니라 민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슴과 거북이 같은 다양한 동물들을 함께 배치했다.

“첫 전시회 때는 있는 그대로의 책거리를 보여 줬다면 이번에는 평면 속에서도 역원근법과 다시점의 방식으로 본 형상들이 한 화면 속에 섞이면서 민화와의 결합을 추구했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

은은한 맛을 깔고 있는 책거리 그림에다 직설적으로 욕망을 표현하는 민화를 ‘동거’시킨 셈이다. 그래서 문자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고고함, 책과 물건에 대한 남다른 취향의 과시, 장원급제와 출사길을 향한 은근한 욕망이 한데 뒤섞인 모양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책, 공부, 출세 등 현실적 욕망을 얘기하되 한층 부드럽고 여유로운 접근이 눈에 띈다. (02)722-5066.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9-24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