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실과 만나 평면성 벗다

색실과 만나 평면성 벗다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 쌓아올려 입체감을… 정정희 패브릭 아트전

밥 먹을 자리를 잡는데 구석자리로 간다. “이렇게 환대받는 게 처음이라서….” 영 어색한가 보다. 한마디 더 붙인다. “오래 사니 좋네요. 저에게도 이런 자리가 다 마련되고….” 그럴 법도 한 게 천 작업은 예술로 인정받지 못했다. 10월 20일까지 서울 평창동 김종영미술관에서 ‘타피스트리의 거장, 정정희’전을 여는 정정희(81)는 달랐다.

이미지 확대
정정희
정정희


‘거장’이란 호칭에도 ‘타피스트리’(Tapestry)라는 말이 불만이다. 그보다 ‘패브릭 아트’(Fabric Art)로 받아들여지길 바란다고 했다. 천으로 그림을 대신하는 게 아니라, 천 그 자체의 미학에 집중한다는 의미다.

이는 천으로 만든 작품임에도 입체감이 돋보이는 데서 더 명확히 드러난다. 어디 깔고 입히는 쓰임새보다 천 자체의 색깔과 형태가 눈길을 끈다. 촘촘하게 짜서 채우기보다 과감하게 공간도 비워 놓는다.

1949년 서울대 미술학부에 입학, 조각을 공부한 이답다. 그런데 조각 전공 이유가 조금 웃기면서도 다음 행보와 연결된다. “고등학교 때까지 색채감 좋다는 얘길 많이 들었어요. 그래서 당연히 그림이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대학에 입학해 보니 호리호리하고 가냘픈 여학생은 서양화를, 얌전하게 보이는 여학생은 동양화를, 힘 좀 쓰게 생긴 저에게는 조각을 하라시데요. 호호호.”

이미지 확대
정정희 ‘날고 싶은 마음’
정정희 ‘날고 싶은 마음’


# 천 자체 미학에 집중해온 평생…더 촘촘하게

그렇다고 조각이 싫었단 말은 아니다. 1957년 국전에서 “퍽 건실한 여류 조각가가 나와서 반갑다.”는 평과 함께 특선에 뽑혔을 정도니.

실과의 만남은 ‘한국공예시범소’가 인연이 됐다. 초강대국으로 등장한 미국은 조형 분야에서도 독일의 바우하우스를 뛰어넘고 싶어 했다. 마침 우리나라도 산업개발을 위해 공예가들을 키우길 원했다.

금속 펜던트 작업을 하던 작가는 이렇게 맞아떨어진 양국의 이해관계 덕분에 미국 유학길에 올랐고, 여기서 패브릭 아트의 거장으로 꼽히는 잭 르노어 라르센을 만났다. 정 작가는 “조각과 달리 색을 쓸 수 있어서, 회화와 달리 입체적일 수 있어서” 좋았다고 했다. 회화의 평면성, 조각의 무색성을 벗어버린 것이다. 그의 작품이 추상화 같으면서도 설치 같은 이유다.

이미지 확대
정정희 ‘즐거운 추억Ⅱ’
정정희 ‘즐거운 추억Ⅱ’


# 조각과 달리 색을 쓰게 돼 즐거운

그런데 정작 작가 자신은 이를 ‘선택했다.’고 표현하지 않는다. “젊은 세대가 그래서 부러워요. 요즘은 왜 이걸 하는가 고민하고 선택하지만, 전 그냥 하는 거였거든요. 당연히 이래야 하는 줄 알고 하는 것, 그것뿐이었지요.”

미대를 나와 결혼하고 출산하고 살림해야 하는 ‘대한민국 아줌마’로서의 조건을 감내했다는 얘기다. 그래서 남편이 고맙다 했다. 쓰임새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자그마하지도 않은 작품들을 이제껏 끼고 살았는데도 아무 말 없었으니.

“바깥양반이 점잖긴 한데 엄청 깔끔한 성격이라 아무 말 없이 참아내는 게 정말 힘들었을 거예요.” 노()작가가 맑게 웃었다. (02)3217-6484.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9-24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