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경 ‘니까야’ 4부 세계 첫 완역

초기불경 ‘니까야’ 4부 세계 첫 완역

입력 2011-04-20 00:00
업데이트 2011-04-20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처님이 직접 한 말씀을 고스란히 담은 경전인 파알리어 경장 중 가장 긴 말씀들을 엮은 ‘디가니까야’가 한글로 완역됐다.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장이 2년 6개월간의 작업 끝에 세상에 내놓은 역저. 원고지 1만매 분량, 신국판 1560쪽에 무려 2931개의 주석을 단, 방대한 복원 번역본이다.

‘디가니까야’는 장아함경으로 알려진 초기불교 경전. 초기경전은 보통 출가자 생활규범을 담은 율과, 붓다의 가르침을 담은 경, 경의 해석과 설명을 모은 논의 삼장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디가니까야’는 다섯 부분의 경 가운데 길이가 긴 말씀을 모아 ‘길게 설하신 경’으로 널리 통한다. 한국 불교계에선 2006년 각묵 스님의 3권짜리 한역본에 이어 두 번째 한역본을 맞게 된 셈이다. 전 회장은 이번 ‘디가니까야’ 한역에 따라 ‘쌍윳따니까야’(2002년), ‘맛지마니까야’(2003년), ‘앙굿따라니까야’(2008년)를 포함해 4부 니까야를 세계 최초로 모두 완역한 인물로 기록됐다.

‘디가니까야’는 부처님 열반 직후 제자들이 모여 부처님 생전의 말씀을 모은 이른바 1차결집 이래 전승돼 온 대표 초기경전. 한역본 대승경전과 달리 부처님 말씀의 가감 없는 진수를 그대로 알 수 있는 경전으로 인정받는다. 우주와 인간, 삶과 역사, 윤회에 대한 거대 담론을 담고 있고 무엇보다 바른 마음챙김(正念)을 진정한 도의 핵심으로 가르치며 마음과 지혜의 해탈을 완성한 부처님의 아라한 경지를 볼 수 있는 언어들이 돋보인다.

이번 ‘디가니까야’는 붓다고사의 정통주석서 수망갈라빌리시니에 바탕해 풀어낸 설법 모음집이란 게 특징. 다른 경들에서 소개됐던 잘못된 견해 62가지를 정교하게 분석한 것을 비롯해 고행주의자의 삶, 신통의 기적, 과거칠불의 사회적 지위·이름·주요제자 생애까지 상세히 묘사해 놓았다. 불교의 핵심인 연기와 1에서 10까지 불교의 법수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돋보인다.

가장 눈여겨볼 대목은 ‘완전한 열반의 큰 경’. 부처님이 마지막 생애에 한 일과 말씀, 사건들이 놀랄 만큼 사실적으로 전해진다. 그야말로 “모든 형성된 것들은 부서지고 마는 것이니, 방일하지 말고 정진하라.”는 마지막 유훈의 형성과정을 속속들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가섭이 부처님의 법을 이어받았다고 흔히 알려진 삼처전심 중 ‘곽시쌍부’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비롯해 일반 통설의 허구를 파헤친 점이 흥미롭다.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4-20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