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 전사 직후 초분 매장 안했다”

“충무공 전사 직후 초분 매장 안했다”

입력 2011-04-19 00:00
업데이트 2011-04-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순승 장학관 “고금도 안치 뒤 84일만에 아산 운구”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벼슬 때문에 84일 만에 장례가 치러졌습니다. 전사 직후엔 남해 고금도에 초분 형태로 매장된 게 아니라 안치만 됐다가 충남 아산으로 시신이 옮겨졌다고 봅니다.”

이미지 확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표준 영정. 고 장우성 화백의 작품으로 현재 충남 아산 현충사에 소장돼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표준 영정. 고 장우성 화백의 작품으로 현재 충남 아산 현충사에 소장돼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홍순승 충남도교육청 장학관은 18일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의 이순신연구논총에 실린 논문 ‘이순신 장례과정 연구’에서 “충무공은 1598년 11월 19일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뒤 남해 고금도에 안치됐다가 고향인 아산으로 운구돼 84일 만인 이듬해 2월 11일 금성산에 안장됐다.”고 주장했다.

홍 장학관은 “충무공은 전사 직후 선조가 우의정 벼슬을 내려 당상관에 올랐지만, 전사 당시의 벼슬만으로도 ‘4품 이상은 3개월 후 치르도록 한다’는 경국대전의 법도대로 장례가 치러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벼슬 있는 사람의 당시 장례풍습에는 가묘를 쓰지 않는다며 고금도에 가빈(家殯)을 차려 충무공 시신을 안치했을 뿐 초분에 임시 매장했다가 아산으로 운구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또 충무공이 1604년 좌의정에 추서, 선무공신 칭호를 받자 후손들이 “첫 장례가 전란 직후여서 제대로 예우를 갖추지 못한 채 치러졌다.”고 조정에 이장을 상소해 16년 뒤 어라산으로 크게 확장, 이장하면서 성역화 과정을 걸었다고 설명했다. 충무공은 1793년 영의정까지 올라 묘역에 상석·향로석·장명 등이 설치됐고, 정조가 친필로 신도비까지 세우면서 격이 한껏 높아졌다.

홍 장학관은 “명확한 근거와 자료 없이 초분 매장 등을 주장하는 설이 난무해 당시 법도에 따라 충무공의 장례 과정을 추정했다.”고 말했다.

아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04-19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