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 불교계 물밑에서 무슨 일이

정부 - 불교계 물밑에서 무슨 일이

입력 2011-04-06 00:00
업데이트 2011-04-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급격히 해빙 분위기 연출 “쇄신의지 있나” 비난 일어

다음달 10일은 부처님오신날(음력 4월 8일)이다. 봉축행사는 오는 11일 시작된다. 행사를 앞두고 정부와 불교계가 급격한 해빙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당·정·청은 불교계와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꾸렸다. 같은 날 불교계에서는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 기간 정부·여당 인사의 사찰 출입을 사실상 허용하는 지침으로 이에 화답했다.

대한불교조계종이 전국 사찰에 내려보낸 봉축행사 실천 지침은 정부 관계자와 정치인은 초청하지 않지만 개인 자격의 신행 활동을 할 경우 별도의 의전 없이 허용하기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미 지난주 총무원 포교원장이 청와대 안에서 법회를 갖고 조계종 총무원 앞 출입금지 팻말을 철거하면서 ‘감지’되기 시작한 화해 모드다.

조계종 관계자는 “정부 관계자와 정치인의 봉축행사 참석은 원칙적으로 배제하고 개인적인 신행 활동은 기존대로 허용하는 것일 뿐 방침이 바뀐 것은 아니다.”라면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이를 놓고 불교계 안팎에서 말들이 분분하다.

특히 2007년 대통령 선거 당시 이명박 후보 캠프에 참여한 자승 조계종 총무원장을 비롯한 불교계 인사 380명의 명단이 공개된 것과 관련해 비난이 드높다. 정부와 불교계가 이렇다 할 계기나 특별한 ‘사건’ 없이 해빙되고 있는 것이 이와 무관치 않으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것.

한 불자는 “불교계가 사실 여부에 대해 확인조차 하지 않는 데다 반성 고백도 없다.”면서 “이런 상태에서 진행되는 조계종의 자정과 쇄신 5대 결사 운동의 진정성은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정부의 종교 편향에 결기를 드세웠다가 흐지부지됐던 과거 전철을 되밟는 것이 아니냐는 점잖은 비판에서부터 자정과 쇄신의 5대 결사라는 것 자체도 이미 한계를 안고 있다는 근본적인 비판까지 내부 불만이 들끓고 있다.

이를 의식해 조계종이 정부와 여당을 향한 산문(山門)을 쉽게 열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상효 실천불교승가회 사무국장은 5일 “대정부 관계를 계속 폐쇄하느냐 마느냐는 부차적인 문제며 종단이 안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적 쇄신과 변화가 핵심”이라면서 “돌아가면서 결의대회를 하고 있지만, 불교의 과거를 진실로 반성하고 변화하려는 전체적인 의지가 너무도 미약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자정과 쇄신은 과거의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고 자기반성을 선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불교계 또 다른 관계자는 “조계종 최고 수장이 정부 여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사실이 폭로됐는데도 가타부타 말하지 않은 채 5대 결사만을 얘기한다면 그 의지를 누가 인정하고 권위에 따르겠냐.”면서 “솔직한 자기 고백은 하지 않은 채 정부와 관계를 풀려고 하니 여러 가지 의문과 의심이 계속 제기되는 것”이라며 자승 총무원장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했다.

정웅기 참여불교재가연대 사무총장은 “어느 정도 타협은 할지라도 5대 결사운동을 확 접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근본적 쇄신을 위한 의지와 노력 자체가 의심받지 않는 상황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4-06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