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담탱이 레알 병맛나”…비속어에 찌든 학생들

“우리 담탱이 레알 병맛나”…비속어에 찌든 학생들

입력 2010-10-07 00:00
업데이트 2010-10-07 15: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선학교 교사 절반 이상은 학생들의 대화 가운데 20~50%가 욕설,비속어,인터넷 은어로 채워져 있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564돌 한글날을 앞두고 7일 전국 유·초·중·고교 교원 455명을 대상으로 학생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응답자 52.7%는 ‘학생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비율이 20~50%는 된다’고 답했다.

 또 ‘비속어 등의 비율이 50~70%’라는 응답도 22.4%나 됐으며 ‘20% 이내’라는 답변은 16.4%에 불과했다.

 교원들은 ‘조사를 빼면 대화의 반 이상이 욕설과 비속어,은어로 이뤄져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66.1%가 ‘그렇다’고 답했고,56.4%는 ‘학생들이 욕설,비속어,은어를 쓰는 것을 거의 매일 본다’고 답했다.

 학교 언어환경이 이렇게 악화한 주요 원인으로는 인터넷이 지목됐다.

 교원의 49.2%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학생들의 욕설,비속어 사용이 더 심각해졌다고 답했고 ‘영화·방송매체의 영향’이나 ‘가정·학교의 교육부족’이라는 응답률은 각각 34.2%,11.2%였다.

 응답자 96.2%는 인터넷 시대 이전과 비교할 때 학생들의 욕설,비속어,은어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고 대답했다.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병맛’(어이없음,병신 같은 맛의 줄임),‘열폭’(열등감 폭발),‘레알’(정말),‘쩔라’(최고로),‘베프’(베스트 프렌드),‘비추’(추천하지 않음),‘얄짤없다’(인정사정없다),‘담탱이’(담임선생),‘안습’(안타깝다) 등의 은어,비속어를 ‘대부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14.7%로 저조했다.

 또 응답자의 81.5%는 ‘(학생들에게 지도를 하면) 겉으로는 수긍하지만 속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느낀다’고 답해 학생들에 대한 언어 사용 지도가 별 효과가 없음을 인정했다.

 교총 정종찬 대외협력국장은 “교사들은 학생들의 욕설문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다”며 “올바른 언어사용을 위해 전체 교육계가 합심해 특별수업,아름다운 우리말 쓰기 캠페인 등을 전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