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최악 유혈진압… 이틀간 최소 81명 사망

이집트 최악 유혈진압… 이틀간 최소 81명 사망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슬림형제단 “경찰, 조준사격”…美 국무 “집회 보장하라” 비난

이집트에서 군부에 의해 무함마드 무르시 전 대통령이 축출된 이후 최악의 유혈 사태가 또다시 벌어졌다.
이미지 확대
무엇을 위한 희생인가
무엇을 위한 희생인가 27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외곽 나스르시티에서 무함마드 무르시 전 대통령의 복귀를 요구하는 시위에 참여한 청년(오른쪽)이 경찰의 무력 진압 과정에서 사망한 친척의 시신 앞에서 통곡하고 있다.
나스르시티 AP 연합뉴스


이집트 보건당국은 27일(현지시간) 카이로 북부 나스르시티에서 무르시의 복귀를 요구하는 무슬림형제단 등 이슬람 세력의 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최소 7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 알렉산드리아에서도 무르시 찬반 세력의 대규모 집회 과정에서 9명이 숨져 이틀간 최소 81명이 사망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반면 무슬림형제단은 나스르시티 사망자 120명을 포함해 전역에서 200명이 목숨을 잃었고 실탄 및 최루탄 가스 흡입 등에 따른 부상자는 4500여명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경찰의 진압은 무함마드 이브라힘 내무장관이 무르시를 지지하는 시위대에 해산을 촉구하며 “법대로 처리할 것”이라고 경고한 이후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무슬림형제단과 무르시 지지자들은 경찰이 실탄으로 시위대를 조준 사격하는 등 사실상 학살을 자행했다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집트 경찰은 최루탄만을 발사했다면서 시위대를 향해 실탄을 발사했다는 보도를 부인했다.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부통령이 나스르시티 참사 후 “과도한 무력 진압을 강력히 규탄하며 평화로운 방법으로 이번 사태를 해결하겠다”고 수습에 나섰지만 과도정부와 무르시 지지 세력 모두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 또 다른 충돌이 우려된다.

국제사회에서 비난의 목소리도 잇따랐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집트 과도정부가 평화로운 사태 해결과 이집트인 보호라는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폭력은 정치적 해결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규탄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역시 군부에 “평화로운 집회를 할 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라”고 밝혔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3-07-29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