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北 납치 피해자 상징 요코다 메구미의 부친 별세

일본인 北 납치 피해자 상징 요코다 메구미의 부친 별세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6-07 18:10
업데이트 2020-06-08 0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일본인 北 납치 피해자 상징 요코다 메구미의 부친 요코다 시게루 연합뉴스
일본인 北 납치 피해자 상징 요코다 메구미의 부친 요코다 시게루
연합뉴스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사건 피해자의 상징적 인물인 요코타 메구미(납치 당시 13세)의 아버지 요코타 시게루가 지난 5일 87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메구미는 중학교 1학년이던 1977년 11월 고향 니가타에서 학교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오다가 실종됐고, 나중에 북한으로 납치된 사실이 알려졌다. 북한 당국은 메구미가 북한에서 결혼해 딸을 낳고 살던 중 1994년 우울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발표했다. 2004년에는 “메구미의 것”이라며 일본 정부에 유골을 보냈다. 그러나 감정 결과 다른 사람의 것으로 확인되면서 일본 정부와 가족은 “북한의 말을 믿을 수 없다. 메구미는 살아 있다”며 꾸준히 송환 요구를 해 왔다.

아버지 요코타는 1997년 납치피해자가족회 창립 때부터 모임 대표를 맡아 부인 사키에(84)와 일본 전역을 돌며 딸의 송환을 호소하는 서명운동 및 사진전, 1400회 이상의 강연을 했다. 2006년 5월에는 서울을 방문해 북한에서 딸과 결혼한 것으로 알려진 한국인 납북자 김영남씨의 어머니 등 가족들과 상봉했다. 이어 2014년 3월에는 북한에서 태어난 메구미의 딸이자 친손녀인 김은경씨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만나기도 했다.

그는 2007년 혈소판 관련 난치병 진단을 받고 모임 대표를 그만둔 뒤에도 딸의 송환 노력을 계속해 왔으나 2018년 4월부터 증세가 악화돼 줄곧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1987년 대한항공 858기 폭파 사건을 일으켰던 전 북한 공작원 김현희(58)씨는 요코타의 사망과 관련한 산케이신문의 취재에 고인에 대해 애도의 뜻을 표하면서 “메구미가 살아 있다는 생각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 어머니(사키에)라도 속히 딸을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씨는 메구미가 북한에서 공작원들의 일본어 교육을 담당할 때 만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코타가 끝내 딸과 만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면서 납치 문제를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해 온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 대해 “실제로 이룬 게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아베 총리는 그의 별세와 관련해 “전력을 다해 왔지만 메구미의 귀환을 실현하지 못해 애끊는 심정이다. 정말로 죄송하다”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20-06-08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