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조선도공 후예 심수관家 14대 심수관 별세

일본의 조선도공 후예 심수관家 14대 심수관 별세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6-18 01:48
업데이트 2019-06-18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제14대 심수관(본명 심혜길). 교도 연합뉴스
제14대 심수관(본명 심혜길).
교도 연합뉴스
일본 도예 명가 심수관(沈壽官)가의 제14대 심수관(본명 심혜길)이 16일 폐암으로 별세했다고 교도통신 등이 보도했다. 92세.

심수관가는 16세기 말 정유재란 당시 전북 남원에서 일본 가고시마로 끌려간 조선 도공 심당길의 후예들로, 전대의 이름을 그대로 따르는 관습에 따라 본명 대신 심수관이라는 이름을 이어서 쓰고 있다. 시바 료타로가 조선 도공들의 망향을 소재로 쓴 단편 소설 ‘고향을 잊기 어렵습니다’에서 소개되며 더욱 유명해졌다.

일본 와세다대 정경학부를 나온 고인은 부친인 13대 심수관이 숨진 1964년부터 14대 심수관으로 가문을 이끌어 왔다. 이들 가문의 도자기는 한국과 일본은 물론 1800년대 말 유럽의 주요 만국박람회에도 소개되며 세계적으로도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고인은 400여년을 이어서 도자기 기술을 전수하며 한일 문화의 가교역할을 한 공로로 1989년 국내 최초로 명예총영사 직함을 얻었다. 고인의 뒤를 이어 장남이 1999년부터 15대 심수관(60·본명 심일휘)을 맡고 있다. 그는 지난해 8월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각각의 세대들은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추구한다. 14대인 우리 아버지의 세계는 역대로 가장 독특하고 화려했다. 전에 ‘우리 가문을 망가뜨릴 수 있는 분은 오직 아버님밖에 없다’고 말씀드린 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6-18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