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연구팀 “빈혈 산모가 산후 우울증 위험 60% 더 높다”

日연구팀 “빈혈 산모가 산후 우울증 위험 60% 더 높다”

김태균 기자
입력 2019-04-17 11:24
업데이트 2019-04-17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빈혈이 있는 여성들은 산후 우울증 발생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6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국립성육(성장)의료연구센터 연구팀은 ‘임신 중기’, ‘임신 후기’, ‘출산 후’ 등 각 단계별로 혈액검사 데이터가 있는 여성 977명(평균 36세)을 대상으로 산후 1개월 시점의 우울증 유무를 조사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우울증 (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연합뉴스
우울증 (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연합뉴스
조사에서 빈혈 증상이 있는 여성은 임신 중기 193명(19.8%), 임신 후기 435명(44.5%), 산후 432명(44.2%)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산후 우울증이 나타난 사람은 196명(20.1%)이었다.

연구팀은 “산후 빈혈이 있는 여성은 빈혈이 없는 여성들에 비해 우울증 발병위험이 1.63배에 달했다”고 밝혔다. 빈혈이 중증일 경우의 우울증 발병 위험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1.92배, 경증은 1.61배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신 중기 및 후기의 빈혈과 산후 우울증과의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빈혈이 되면 전신의 권태감과 무기력감이 높아지고 피로가 쉽게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우울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산후 우울증은 임산부 사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살의 주요 원인”이라면서 “빈혈 치료를 통해 위험한 산후 우울증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의 오가와 고헤이 산부인과 전문의는 마이니치에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는 혈액검사를 통해 산후 우울증을 평가한 데 이번 연구의 의미가 있다”면서 “가벼운 빈혈도 방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