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표 반려” 퇴직갈등 커지는 日

“사표 반려” 퇴직갈등 커지는 日

김태균 기자
입력 2019-04-08 22:42
업데이트 2019-04-09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 Zoom in] 사상 최대 인력난에 ‘불편한 동거’

퇴직 관련 상담 10년새 2.5배 늘어
비싼 수수료에도 퇴직대행업 급증


“사표를 냈지만 내가 프로젝트 리더라는 이유로 위에서 퇴직 절차를 밟아 주지 않아 그대로 회사에 다니고 있다.”, “회사에서 사표 수리를 거부하며 ‘이대로 관두면 남은 급여를 정사원이 아닌 아르바이트생에 준해 지급하겠다고 한다.”, “회사를 그만두겠다고 했더니 사장이 과거 한때 있었던 동료와의 불륜 사실을 세상에 까발리겠다고 협박한다.”

일본 법률정보사이트 ‘변호사닷컴’에 올라와 있는 퇴직 관련 고민들이다. 회사를 그만두겠다는데도 곱게 내보내 주지 않는 기업들이 최근 급증하면서 노동인권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심각한 일손 부족으로 직원이 나가면 그 자리를 메우기가 너무 어렵다 보니 많은 회사들이 ‘아름다운 이별’보다는 불편한 동거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8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퇴직 갈등’과 관련된 직장인들의 노동상담 건수(후생노동성 발표)는 2017년 기준 3만 8954건으로, 10년 전인 2007년의 1만 5746건에 비해 2.5배 증가했다. 전체 노동상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에 달해 처음으로 ‘해고’ 관련 상담건수를 추월했다. ‘퇴직을 하고 싶은데 대체인력이 없다는 이유로 사표 수리를 해 주지 않는다’, ‘그만두겠다고 했더니 무지막지한 인신공격을 했다’, ‘나의 퇴직으로 인한 손해에 대해 배상청구를 하겠다고 한다’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퇴직 트러블’ 급증의 가장 큰 이유는 인력난이다. 지난 5일 도쿄상공리서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00개의 일본 기업이 일할 사람이 없어 망했다.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다. 퇴직 희망자 본인을 대신해 회사에 사표를 제출하고 뒤처리까지 마무리해 주는 ‘퇴직대행 서비스’ 업체가 속속 등장하는 데는 이런 배경도 한몫한다. 현재 일본 내 퇴직대행 업체는 줄잡아 30곳에 이른다. 선도업체 격인 ‘엑시트’(EXIT)의 경우 2017년 5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올 2월까지 약 2600명의 퇴직을 대행했다. 엑시트를 이용해 퇴사 절차를 마친 20대 남성은 “인터넷 메신저 ‘라인’을 통해 간단히 퇴직대행을 의뢰했다”면서 “수수료 5만엔(약 50만원)을 냈지만 퇴직신청에 따른 번거로움을 감안하면 그리 비싼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퇴직 트러블의 문제가 커지자 후생노동성은 오는 6월부터 관련 상담전화를 설치하기로 했다. 노동자들이 고민을 쉽게 털어놓을 수 있도록 평일 주간뿐 아니라 야간, 주말에도 운영해 기업에 대한 지도 및 노사 간 대화의 장 마련 등에 나서기로 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9-04-09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