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국경 넘었다고 생명권 침해 안 돼”

EU “국경 넘었다고 생명권 침해 안 돼”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9-29 16:22
업데이트 2020-09-30 05: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국무부·유엔 사무총장 규탄 이어
‘北 피격’ 국제사회 비판 목소리 커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으로 사과하고 이틀이 지난 27일 이른 아침 북측 등산곶이 보이는 연평도 앞바다에서 해병대원들이 해상 정찰을 하고 있다. 2020.9.27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으로 사과하고 이틀이 지난 27일 이른 아침 북측 등산곶이 보이는 연평도 앞바다에서 해병대원들이 해상 정찰을 하고 있다. 2020.9.27 연합뉴스
북한군에 의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피격당한 사건과 관련해 북한을 비판하는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8일(현지시간)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해 ‘인간의 생명권 침해’라는 입장을 밝혔다. EU 대외관계청 대변인실은 미국의소리(VOA)에 보낸 이메일에서 “아직 사건의 정확한 전모가 드러나지 않았다”면서도 “국경을 넘었다는 것이 생명권을 침해할 수 있는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EU는 이번 사건이 더 큰 긴장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을 인정한다”며 “2018년 남북 포괄적 군사합의에서 예견된 것처럼 남북 간 통신 채널이 재개되면 긴장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가 지난 27일 북측에 공동조사와 함께 군 통신선 복구를 요구한 데 대해 힘을 실어 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지난 26일 한반도 해역에서 한국 민간인이 목숨을 잃은 사건에 대해 개탄하며 투명한 조사를 촉구했다. 아울러 접경 지역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쌓기 위해 평양공동선언과 2018년 군사합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밝혔으며, 다시 한번 남북 대화 재개에 대한 지지를 표했다고 대변인실은 전했다.

미 국무부도 지난 25일 “동맹인 한국의 규탄과 북한의 완전한 해명에 대한 한국의 촉구를 완전히 지지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북한이 당 통일전선부 통지문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과를 전한 데 대해선 “도움 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20-09-30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