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경관들 “美 경찰과 똑같다고? 이런 모욕이” 수갑 길바닥에 던져

佛 경관들 “美 경찰과 똑같다고? 이런 모욕이” 수갑 길바닥에 던져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6-13 10:28
업데이트 2020-06-13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랑스 파리 생드니 구청 앞에 모여 11일(현지시간) 목누르기 체포 관행을 금지한다고 밝힌 내무부 장관의 발언에 항의하던 경찰관들이 항의의 표시로 수갑을 길바닥에 던지고 있다. 파리 AFP 연합뉴스
프랑스 파리 생드니 구청 앞에 모여 11일(현지시간) 목누르기 체포 관행을 금지한다고 밝힌 내무부 장관의 발언에 항의하던 경찰관들이 항의의 표시로 수갑을 길바닥에 던지고 있다.
파리 AFP 연합뉴스
“우리 경찰이 미국 미니애폴리스 경찰과 마찬가지라고, 이건 굴욕적이라고.”

12일(이하 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중심가 샹젤리제 거리를 순찰차와 모터사이클 경적을 울리며 행진한 경찰관들이 인종차별과 폭력을 봐주기만 한다는 일부 시민의 주장에 분개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수갑을 길바닥에 던지는 퍼포먼스를 했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이들은 정부가 경찰이 시위 진압을 할 때 목조르기를 하지 않도록 금지한 것이 경찰을 무력화시키려는 작태라고 항의했다.

비슷한 시위는 전날 파리와 릴, 렌, 보르도, 툴루즈에서도 있었고, 12일 아침에는 파리의 관문인 오를리 공항에서 일단의 경관들이 수갑을 길바닥에 던지는 시위를 벌였다.

크리스토프 카스타너 내무부 장관은 프랑스 경찰도 미국 경찰과 마찬가지로 소수인종의 시위를 진압할 때 인종차별적 태도를 보인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경찰의 체포 관행에 잘못된 구석이 적지 않다며 목조르기를 금지한다고 지난 8일 밝혔다. 11일에도 경찰 노조 대표와 대화를 나눴는데 접점을 찾지 못해 노조는 이날 일종의 위력 시위에 나선 셈이다. 정부는 파리 곳곳의 소수인종 거주지들에서 질서를 파괴하는 행동이 벌어질까 두려워 일종의 여론 무마로 목조르기 금지를 발표했다.

벌써 이달 초부터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물결에 영향을 받아 2016년 경찰 체포 작전에 희생된 24세 흑인 남성 아다마 트라오레의 이름이 여러 시위 현장에 등장했다. 경찰은 또 지난달 말 파리 근처 본디에서 스쿠터를 훔쳐 달아나려 한 14세 소년 가브리엘을 검거한 뒤 심하게 구타해 흑인사회의 공분을 샀다.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행진 대열이 13일 뤼퍼블리크 역에서 오페라 역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경찰은 가게와 사무실 등을 철시하고, 모든 주택 창문을 판자 등으로 가릴 것을 당부했다.

경찰 감독기구의 지난해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관을 대상으로 접수된 시민들의 불만은 모두 1500건 가까이 되는데 절반이 지나치게 완력을 행사했다는 것이었다고 AFP 통신은 전했다. 카스타너 장관은 최근 너무 많은 경관들이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시위대에 퍼부었다는 항의를 듣고 있다며 이들은 “공화주의자의 의무를 저버린 것”이라며 “끝까지 추적해 싸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 발언을 들은 파리의 한 경관은 12일 일간 파리지앵 인터뷰를 통해 “이 정부는 줏대가 없다. 길거리에 성마른 2만명이 있는데 정부는 경찰을 포기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를 통해 경찰의 목조르기 행위에는 잘못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말해” 없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목조르기 개념 자체는 아무런 잘못이 없고 완벽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이 행위가 타당한지는 물리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이어 “(목조르기를 할 때) 조심해야 한다”며 “일반적으로 말해 목조르기를 끝내는 것이 매우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주 시애틀의 관광명소인 ‘캐피톨 힐’과 경찰서 등을 시위대가 점거하는 등 혼란이 벌어진 데 대해 “시애틀이 무정부주의자들에 의해 점거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 많은 강인함이 있었다면 미니애폴리스나 시애틀에서 있었던 종류의 파괴가 없었을 것이다. 시애틀에서 어떤 일이 진행되는지 지켜보자”며 “그들이 상황을 바로잡지 못하면 우리가 바로잡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선 트윗에서는 “테러리스트들이 우리의 도시를 불태우고 약탈한다”고 비난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