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청, ‘홀로코스트 침묵’ 비오 12세 방대한 문서 오늘 공개

교황청, ‘홀로코스트 침묵’ 비오 12세 방대한 문서 오늘 공개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3-02 07:22
업데이트 2020-03-02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260대 교황 비오 12세의 생전 모습.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제260대 교황 비오 12세의 생전 모습.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바티칸 교황청이 2일(현지시간) 2차 세계대전 기간과 겹치는 제260대 교황 비오 12세의 재위 기간(1939~1958년) 기록된 비밀 문서를 연구자와 학자 등에게 공개해 주목된다. 히틀러의 침략 야욕과 홀로코스트 대학살에 처한 유대인들을 구제하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오해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인가 때문이다.

문서는 주제별로 121 섹션으로 나뉘며, 수백만 쪽에 이른다. 교황청 사도문서고 책임자인 세르조 파가노 주교는 지난달 21일 로마에 있는 아우구스티누스 대학에서 연구의 날 행사를 개최하기 전 ‘바티칸 뉴스’ 인터뷰를 통해 그동안의 준비 과정을 설명했다. 그는 “지난 13~14년 동안 모든 자료를 디지털로 만들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문서들을 바티칸 사도문서고의 연구실에서 검색하고, 그곳에서 ‘인트라넷’을 통해 열람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유대인에 대한 교황의 입장 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들과 교황청의 외교 협정들에 관한 중요한 문서들, 특정 종교정책과 관련해 공산주의와 절대주의에 대한 교황과 교황청의 입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비오 12세의 자선활동에 관한 서류가 담긴 8000개 이상의 문서 상자를 통해 자선기금에 대한 정리를 했다며 미국을 비롯한 다양한 가톨릭 신자들로부터 기부를 받아 곧바로 당일에 개인, 본당, 고아원, 병원, 대학, 연구소 등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즉시 재분배한 것이 특히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문서 공개 시점은 관례보다 크게 앞당긴 것이다. 교황청은 통상 특정 교황의 재위 마지막 해로부터 70년이 지난 뒤 해당 교황 재위 시절 작성된 문서의 비밀을 해제해왔다. 이에 따르면 비오 12세 때의 문서 공개 시점은 2028년이다.

물론 프란치스코 교황의 결단에 따른 것이다. 그는 지난해 3월 교황청 사도문서고(옛 비밀문서고) 직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교회는 역사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역사를 더더욱 사랑한다’며 앞당겨 공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은 비오 12세가 교황으로 즉위한 지 81주년이 되는 날이다.

홀로코스트 악몽을 겪은 유대인 일부와 역사학자들은 비오 12세가 유대인을 돕는데 소극적이었다고 비판해왔다. 반면에 그동안 교황청은 비오 12세가 유대인이 행여나 더 큰 곤경에 처할까 두려워 물밑에서 조용히 도왔다고 주장해왔다.
감기 증상을 겪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1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광장에서 열린 일요 삼종기도회 도중 기침을 참고 있다.교황은 “불행하게도 감기로 인해 올해는 사순절 피정(避靜)에 참석하지 못할 것”이라며 “난 여기(바티칸)에서 묵상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그가 사순절 피정에 불참하는 것은 2013년 즉위 이후 처음이다. 바티칸 AP 연합뉴스
감기 증상을 겪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1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광장에서 열린 일요 삼종기도회 도중 기침을 참고 있다.교황은 “불행하게도 감기로 인해 올해는 사순절 피정(避靜)에 참석하지 못할 것”이라며 “난 여기(바티칸)에서 묵상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그가 사순절 피정에 불참하는 것은 2013년 즉위 이후 처음이다.
바티칸 A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이 서둘러 문서 공개를 결정한 것도 이런 논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한 것이다. 그는 비오 12세의 행적을 둘러싼 과거 논란에 편견과 과장이 섞여 있다고 지적한 적이 있다. 실제로 교황청 안팎에서는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이 일부나마 살아 있을 때 문서를 공개해 역사적 평가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이날 문서 열람을 신청한 200명 중에는 미국 워싱턴에 있는 홀로코스트 기념박물관 소속 학자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에 공개되는 문서가 비오 12세 재위 기간을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할지는 미지수다. 교황청의 한 관계자는 지난달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학자들이 결정적인 증거를 발견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더욱이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거쳐 비오 12세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나오려면 길게는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문서의 양이 워낙 방대한 데다 학자들 사이에 복잡하고 치열한 논증 과정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교황청은 일단 문서를 공개한 뒤 모든 역사적 평가를 학자들 손에 맡긴다는 입장이다. 파가노 주교는 “우리는 학자들 개개인이 자신만의 결론을 내리도록 놔둘 것이며, 어떤 두려움도 없다”고 딱잘라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