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디지털세에 맞서 프랑스 핸드백·화장품에 25% ‘관세 폭탄’

미국, 디지털세에 맞서 프랑스 핸드백·화장품에 25% ‘관세 폭탄’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7-12 15:47
업데이트 2020-07-12 15: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프랑스의 ‘디지털세’에 대한 보복으로 화장품과 핸드백 등 21개 프랑스산 상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 부과를 선언했다. 사진은 지난 2016년 3월 31일 프랑스 동부 에히꾸흐의 에르메스 매장에서 오픈을 앞두고 핸드백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직원. 에히꾸흐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프랑스의 ‘디지털세’에 대한 보복으로 화장품과 핸드백 등 21개 프랑스산 상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 부과를 선언했다. 사진은 지난 2016년 3월 31일 프랑스 동부 에히꾸흐의 에르메스 매장에서 오픈을 앞두고 핸드백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직원. 에히꾸흐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프랑스의 ‘디지털세’에 대한 보복으로 일부 프랑스산 상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 부과를 선언했다. 미중에 이어 미국과 유럽 주요국의 무역 마찰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미 무역대표부(USTR)는 13억 달러(약 1조 5600억원) 규모의 프랑스산 상품에 25%의 징벌적 과세 부과 방침을 밝혔다. 프랑스의 화장품과 핸드백, 비누 등 모두 21개 품목이 관세 부과 대상이 됐다. 당초 예상됐던 프랑스산 와인과 치즈(카망베르와 로크포르)는 ‘보복의 칼’을 피했다. 이 같은 조치는 관세 인상에 따른 미국 내 생필품 가격 상승 우려에 대한 조치로 해석된다.

USTR은 미국의 ‘IT 공룡’들을 대상으로 한 프랑스의 디지털세가 “불공정하게 미국의 디지털 기술 기업들을 겨냥하고 있다”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미국은 다만 프랑스 상품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를 180일 후인 내년 1월6일까지 유예하고 남은 기간 타협점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프랑스는 지난해 7월 ‘구글과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GAFA) 등 미국 IT 대기업들이 프랑스에서 벌어들인 연간 매출액의 3%를 과세하는 디지털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부과 대상은 글로벌 연매출 7억 5000만 유로(약 1조 173억원), 프랑스 내 매출 1500만 유로를 넘는 IT 기업이다. 프랑스의 디지털세에 미국이 24억 달러 규모의 프랑스 제품에 최고 100%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두 나라는 올해 1월 부과를 유예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통해 디지털세 과세 원칙을 논의하기로 했으나 최근 양국 사이의 대화가 교착 상태에 이르면서 서로 날 선 공세를 퍼붓는 등 다시 갈등을 키우는 모습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