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G20 앞두고 최후통첩… “시진핑과 회동 불발 땐 추가관세”

트럼프, G20 앞두고 최후통첩… “시진핑과 회동 불발 땐 추가관세”

한준규, 윤창수 기자
입력 2019-06-11 22:32
업데이트 2019-06-12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기업 탈출에 망가지고 있어 합의할 것
관세는 아름다운 것” 예찬론으로 압박
이달말 만찬회동 땐 극적 타결 가능성
中, 대미 ‘보복 카드’ 희토류 조사 착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중국을 겨냥해 관세폭탄 카드로 무역협상에 합의할 것을 압박했다. 일각에서는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이 만찬회동에 나서는 등 극적 타결 가능성도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동이 예정돼 있다”면서 “우리가 만나지 못하면 우리 입장에서 최선의 거래는 6000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25%의 관세”라고 위협했다. 미국은 이미 2500억 달러(약 295조원)어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여기에 나머지 수입물량 3000억 달러 이상에도 추가로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의 합의는 이뤄질 것이다. 왜냐하면 관세 때문”이라며 ‘관세맨’이라는 별명답게 관세 예찬론을 폈다. 그는 “사람들은 관세를 활용하지 않았지만 여러분이 돼지 저금통이 됐을 때 또 모든 사람이 우리의 돈을 빼앗아 가려고 할 때 관세는 아름다운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G20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의 회동이 이뤄지지 않으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거듭 위협했다. 그는 “시 주석과 만나지 못한다면 25%보다 훨씬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과거) 중국에서 10센트도 받아내지 못했지만 지금은 (관세로) 중국으로부터 많은 돈을 받아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회동이 예정돼 있다고 하면서도 불발 가능성을 거론한 것은 막판까지 자국에 유리하게 무역협상을 밀어붙이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1일 “미중 정상이 G20 정상회의에서 만찬회동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무역전쟁이 전면적으로 치닫기 직전인 지난해 12월 1일 미중 정상이 아르헨티나 만찬회동에서 90일간 관세 부과 유예 등 ‘휴전’을 끌어냈던 것을 의미한다. SCMP는 “오사카 G20 때도 미중 정상이 만찬회동을 통해 협상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관영 중국증권보는 11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와 공업정보화부, 자연자원부 등 3개 부문이 전날 네이멍구, 장시 등 7개 지역에서 희토류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대미 희토류 수출을 통제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9-06-12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