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사치품 소비자 35%는 중국인…명품 브랜드, 홍콩 대신 中본토행 검토

전 세계 사치품 소비자 35%는 중국인…명품 브랜드, 홍콩 대신 中본토행 검토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7-12 18:06
업데이트 2020-07-13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적 충격에도 중국인들의 ‘명품 사랑’은 식을 줄 모른다.

미국 경제매체 CNBC방송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 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지난해 3170억 달러(약 381조원) 규모의 글로벌 사치품 시장에서 중국인의 점유율이 35%에 이른다고 지난 10일(현지시간) 밝혔다. 모건스탠리는 앞서 7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지난 두 달 동안 중국의 명품 수요는 크게 회복됐다”며 “(루이비통과 구찌, 카르티에, 샤넬, 디오르 등) 브랜드들의 6월 초 매출은 40~9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천신 UBS증권 중국 분석가는 “중국 경제가 전반적인 타격을 받았음에도 중국 소비자들의 명품 구매욕은 흔들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명품 브랜드들은 지난해 홍콩 시위 및 올해 코로나19에 따른 국경 봉쇄 등으로 홍콩을 떠나 중국 본토로 진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중국인들의 여행이 막히자 중국 본토에서 명품 소비가 더 늘어날 것으로 판단하고 홍콩에서 중국으로 매장을 이전하거나 온라인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는 얘기다. 베인의 밀라노 지역 파트너인 페데리코 레바토는 “모든 명품 브랜드가 이런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었는데, 코로나19 사태로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며 앞으로 5년 뒤면 전 세계 명품 소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50%에 근접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중국은 사치품 브랜드를 유치하기 위한 지원책도 내놨다. 중국 정부는 지난 1일 면세 한도를 1만 위안(약 170만원)에서 3만 위안으로 3배 늘리는 한편 면세쇼핑 허브인 하이난성의 1인당 구매 한도 8000위안을 없애 버렸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7-13 1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