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하나 효과 입증? 중국식 코로나19 봉쇄

잔인하나 효과 입증? 중국식 코로나19 봉쇄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0-03-20 15:06
업데이트 2020-03-20 15: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XINHUA PHOTOS OF THE DAY
XINHUA PHOTOS OF THE DAY 중국 우한시에 꾸려졌던 허난 의료팀에서 활동한 지역주민과
봉사자, 호텔 근무자들이 20일 팀 해산을 기념해 셀피를 찍고 있다.
우한 신화 연합뉴스
의료차량도 통행금지, 공무원이 가가호호 감시
전문가 “봉쇄 필요는 통제 불능까지 은폐한 탓”

중국이 코로나19의 확산을 막는다며 후베이성 우한시를 폐쇄한다고 발표했을 때 세계는 경악했다. 역학자들은 중국 정부의 결정이 엄청난 인적, 경제적 비용에 비해 효과가 없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약 두 달이 지난 지금 세계는 베이징의 접근 방식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지난 19일 중국은 국내 감염 사례가 없는 날을 처음 맞았으며, 새로 확인된 감염 사례가 모두 해외에서 들어온 것이라고 보건당국이 밝혔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독일과 미국 캘리포니아에 이르기까지 당시 중국과 비슷한 조치를 서둘러 취하는 상황이다.

19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봉쇄정책 당시 우한시에만 1100만명이 살고 있었으며, 인근 도시의 수천만명이 잇달아 사실상 가택연금 상태에 들어갔다. 현대 국가가 자국민을 이렇게 엄청난 규모로 격리시킨 적은 앞서 없었다.

봉쇄 발표 직후 몇 시간 내에 시내 교통은 무조건 폐쇄됐다. 응급 상황에도 예외가 없었다. 학교, 대학의 휴교는 무기한 연장됐다. 음식이나 약을 판매하는 곳을 제외한 모든 가게는 문을 닫도록 했다. 특별 허가를 받은 경우를 제외한 민간 차량은 도로 통행이 금지됐다. 대부분 대중교통도 중단돼 거리는 텅텅 비었다.

나중에 봉쇄정책은 오히려 더 강화됐다. 공무원들이 집집마다 검진을 다니며 건강 이상이 있는 사람들을 무조건 격리시켰다. 아버지와 동생이 강제 격리를 당한 뒤 한 장애인 소년이 음식과 물을 먹지 못해 숨졌다는 보도도 나왔다. 우한이 폐쇄되기 전 탈출하려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 주변 도시로 봉쇄를 빠르게 확대했다. 대부분 건물엔 경비원을 배치해 출입자 체온을 측정했다. 주거용 건물엔 거주자를 제외하고 출입이 금지됐다. 드론을 이용해 마스크를 쓰지 않고 외출한 국민을 다그치는 장면도 전파를 탔다.
이미지 확대
<yonhap photo-6556=“”> This photo</yonhap>
This photo 중국 우한시 자원봉사자가 지난 15일 사람들 출입을 막기 위해 설치된 격벽 문을 닫고 있다.
우한 AFP 연합뉴스
중국식의 대처가 코로나19 확산 억제에 필수는 아니었다. 대만과 싱가포르 등 중국과 밀접한 나라들은 중국식 봉쇄 대신 ‘사회적 거리두기’ 철저한 검사와 접촉자 추적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까지 확산을 억제하고 있다. 예일대 공중보건학교 첸시 부교수는 “중국이 바이러스를 성공적으로 억제했다고는 믿지만, 채택한 모든 방법이 반드시 필요했던 것은 아니다”라면서 “후베이성은 위기 규모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랫동안 은폐해 왔기 때문에 봉쇄 전략을 취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아직도 통제를 상당 수준 유지하고 있다. 우한은 여전히 대부분 폐쇄돼 있고 많은 식당과 상점은 손님이 입장하기 전 체온을 측정하는 등 절차가 필요하다. 특히 일부 건물은 최근 여행 이력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세가지 색 중 하나를 발급하는 ‘건강코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허가가 된 사람들만 입장을 시키고 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