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짝퉁 팔아 돈 번 주제에…” 조롱받는 ‘中경제 아이콘’

[world 특파원 블로그] “짝퉁 팔아 돈 번 주제에…” 조롱받는 ‘中경제 아이콘’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9-01 22:52
업데이트 2016-09-02 0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자가 되고 싶은가. 그럼 작은 목표를 세워라. 이를테면 먼저 1억 위안(약 168억원)을 벌어 보라.”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


이미지 확대
마윈 알리바바 회장
마윈 알리바바 회장
중국 완다그룹 왕젠린(王健林·61) 회장의 이 한마디가 중국 청년들의 팍팍한 가슴을 후벼 파고 있다. 최근 토크쇼에 출연한 왕 회장의 의도는 청년층에게 희망의 기운을 불어 넣어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막상 이들의 귀에는 ‘작은 목표, 1억 위안’만 들어왔다. 그의 재산은 341억 달러(약 38조원)로 세계 18위라고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평가했다.

동영상은 순식간에 퍼졌다. “돈은 만능(萬能)이 아니다. 완다(萬達)의 것이다”라는 조롱과 “비리로 사형유예를 선고받은 보시라이가 아니었으면 왕젠린도 없었다”는 음모가 줄을 이었다.

1일에는 마지못해 빈민구제 사업을 하는 왕젠린의 두 얼굴을 보여 주는 2014년 동영상도 나왔다. 완다그룹이 건설한 리조트가 있는 마을의 현장(읍장)이 “수익 일부를 기금화해 빈민구제 사업을 벌여 달라”고 요청하자 왕 회장은 “우리가 무슨 돈 찍어 내는 기계냐”며 핀잔을 줬다. 왕 회장은 마을 할머니에게 돈 봉투를 건네며 마치 할 일을 다한 듯한 포즈를 취했다.

왕 회장의 설화(舌禍)는 그와 중국 최대 부호 1위 자리를 다투는 마윈(馬雲·51) 알리바바 회장에게로 튀었다. 누리꾼들은 “중국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한 달에 3만~4만 위안(약 500만~670만원)을 버는 사람들”이라고 말하는 마윈의 동영상을 찾아냈다. “1000만 위안이 넘으면 어디에 투자할까 고민하느라 불편해지고 1억 위안이 넘으면 부담만 커진다”는 마윈의 말에 청년들은 분노했다. “마윈씨 제 월급에서 ‘0’을 하나 더 붙여야 3만 위안이 됩니다”, “짝퉁 팔아 돈 번 주제에 잘난 척은 이제 그만”이란 비난이 줄을 잇고 있다.

왕젠린·마윈 때리기가 지나치자 관영 언론이 근엄하게 나섰다. 신화통신은 “돈의 액수를 보지 말고 기업가의 원대한 포부를 보라”고 지적했고 펑파이는 “현실에 비관하지 말고 미래를 향해 전진하라”고 충고했다. 그러나 누리꾼들은 “쓰레기 같은 글”이라고 일갈했다.

왕젠린과 마윈이 누구인가. 콧대 높은 서방 기업을 잇따라 인수한 왕젠린은 굴기하는 중국 경제력의 표상이고, 전자상거래를 평정한 마윈은 혁신의 아이콘이다. 그들에 대한 찬사와 존경이 비난과 비아냥으로 변한 것은 곪아가는 중국 경제의 일면을 드러내는 것일지도 모른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9-02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