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둘째 허용 되자… “정자 기증” 호소 늘어

中둘째 허용 되자… “정자 기증” 호소 늘어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6-14 22:50
업데이트 2016-06-14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자은행 “기부땐 89만원” 광고…40대 불임부부들 “이제라도 임신”

“청년 여러분, 정자 기부는 애국입니다.”

최근 중국 산시성 위생국 산하 ‘정자은행’이 공식 웨이신(위챗·중국판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정자 기증을 호소하는 광고를 실었다. 산시 정자은행의 광고 포인트는 애국심에 호소하는 것이었다. “급속한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를 막는 길은 애국 청년들의 정자 기부”라는 것이다. 이 정자은행은 누리꾼에게 해당 광고를 웨이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펑유취안(모멘트)에 널리 퍼뜨려 달라고 당부했다.

정자 기부자의 조건은 키 168㎝ 이상, 전문대 학력 이상, 나이는 20~45세였다. 기부에 성공하면 현금 5000위안(약 89만원)을 받는다. 상하이 정자은행은 최신형 아이폰을 선물로 내걸었다.

정자은행이 ‘애국심 마케팅’에 나선 것은 정자 부족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올해부터 둘째 자녀를 갖는 게 전면 허용되면서 정자은행을 찾는 부부가 늘었다. 특히 첫째를 정자은행을 통해 낳은 불임 부부들이 둘째를 갖기 위해 정자은행을 많이 찾고 있다. 40대 이상 중년 부부들도 정자은행의 주요 고객이다.

반면, 정자 공급은 감소하고 있다. 정자를 기부하면 정력이 떨어진다는 전통 관념에다가 “내가 둘째를 낳아야 할 판에 기부가 웬 말이냐”는 정서가 퍼졌다. 환경, 식품, 스트레스 문제 등으로 임신을 가능케 하는 튼튼한 정자가 희귀해진 것도 원인이다. 산시성 정자은행의 경우 2014년 1200명이던 정자 기부자가 2015년에는 800명으로 줄었고, 이 중 임신 가능한 정자를 기부한 사람은 106명뿐이었다.

14일 참고소식망에 따르면 중국 부부 가운데 불임으로 고통을 겪는 부부는 15%이다. 이 중 40%는 남성의 정자가 문제로 파악됐는데, 그 수가 무려 4000만명이나 된다. 정자은행을 통해 정자를 기증받으려면 최소 2년을 기다려야 한다. 시술 가격이 비싸고 절차도 까다로워 최근에는 개인 간 은밀한 거래가 많아졌다. 뉴욕타임스는 “정자 암거래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6-15 1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