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기근 폭로 전직기자 하버드대 시상식 참가 훼방”

“중국, 대기근 폭로 전직기자 하버드대 시상식 참가 훼방”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02-16 22:24
업데이트 2016-02-16 2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적 베스트셀러 ´묘비´쓴 중국작가 양지성

 50여 년 전 36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중국 대기근의 참상을 폭로한 전직 기자가 미국 하버드대 언론상을 수상하고도 관영매체의 방해로 시상식에 불참하게 됐다.

 하버드대 니먼 언론재단은 지난해 12월 중국 관영 신화통신의 전직 기자 양지성(楊繼繩·사진)을 ‘루이스 M. 라이언스’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올해 76세인 그는 지난 1958∼1961년 발생한 중국 대기근에 관한 1200쪽 분량의 문제작 ‘묘비’(墓碑)를 쓴 바 있다.

 그러나 양 작가는 AP와의 통화에서 전 소속사인 신화통신이 자신의 시상식 참석을 막았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이 어떤 방식으로 미국행을 막았는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통상 중국에서 퇴직자들은 연금 등 혜택을 받기 위해 전 직장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 작가는 앞서 지난해 11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스티그 라르손상 시상식에는 참석했다. 그가 이번과는 달리 미리 중국 당국에 시상식 참석 소식을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양 작가는 당시 수상 연설에서 “나는 굶어 죽은 3600만 명 때문에 비탄에 빠져 있다”며 “50년 전에 일어난 인류의 비극이 여전히 은폐되고 있다는 점도 슬프다”고 말했다.

 1940년 중국 중부 후베이성에서 태어난 양지성은 칭화대를 졸업하고 신화통신에서 일했다. 기자로 일하며 마오저뚱의 대약진운동 당시 중국 전역에 발생한 기아상황을 틈틈히 수집했다.

 1958년부터 중국은 공산당의 정책 실패로 식량 사정이 나빠졌고, 급기야 1961년에는 전국적 기아 사태로 번졌다. 이 기간 동안 36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국 정부는 이러한 사실 자체를 지금도 부인하고 있다.

 묘비는 양지성이 당시 중국의 기아 상황을 사실에 기초해 기술한 기록물이다. 중국에서는 금서였지만, 영어 프랑스어 등 전 세계 언어로 번역돼 출간됐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