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무시한 쇠뭉치, 총 쏘지 않고도 인도군 20명 살상 가능했던 이유

무시무시한 쇠뭉치, 총 쏘지 않고도 인도군 20명 살상 가능했던 이유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6-18 23:59
업데이트 2020-06-18 2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총 한 번 쏘지 않았는데 인도군 20명이 숨지게 된 45년 만의 유혈 참극이 가능했던 비밀이 풀렸다. 인도 육군 고위 관게자가 지난 15일 밤 동부 카슈미르의 라다크 지역 접경에서 중국군 병사들이 휘둘렀다고 주장하며 18일 영국 BBC에 건넨 무시무시한 무기 사진이다.

당초 쇠막대기가 동원되고 투석전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총 한 번 쏘지 않고 어떻게 그렇게 많은 인명 살상이 빚어졌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았는데 그저 단순한 쇠뭉치가 아니라 사방을 둘러 못을 박아놓은 것이었다. 정말로 중국군이 이런 흉기를 휘두른 것이 맞다면 얼굴에 빗맞기만 해도 치명상을 입을 것 같아 보인다.

인도의 군사 평론가 아자이 슈클라가 맨처음 트위터에 사진을 올리면서 이런 끔찍한 흉기를 사용한 것은 야만적이라고 비난했다. 두 나라는 1996년에 합의해 이들 국경 분쟁 지역에서 총기와 폭발물을 지니지 못하게 해 두 나라 군인들은 지난 15일 충돌 때 총 한 번 쏘지 않았다.

사진이 소셜미디어에 광범위하게 유포되자 인도인들은 엄청난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두 나라 군대 어느 쪽도 이 무기에 대해 공식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두 나라 병사들은 해발 고도 4267m의 험준한 지형에서 충돌했으며 몇몇 병사는 갈완 강을 빠르게 흘러가는 차가운 빙하 녹은 물에 추락해 목숨을 잃었다.

두 나라 군대가 국경을 놓고 충돌한 것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었지만 지난 15일의 인명 피해는 적어도 45년 만에 일어난 참극이었다. 중국 병사들도 40명 정도 죽거나 다친 것으로 인도 언론은 보도하고 있는데 중국 당국은 웬일인지 사태 발발 사흘이 되도록 정확한 사상자 숫자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인도군 병사 몇몇도 실종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