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교도관·재소자 여름나기에 7억원 들여 슬러시 기계 구입

뉴질랜드, 교도관·재소자 여름나기에 7억원 들여 슬러시 기계 구입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9-04-29 16:35
업데이트 2019-04-29 1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가운 물보다 긴장·폭력성 완화에 효과적”

자료사진
자료사진 AP 연합뉴스
뉴질랜드 교정 당국이 폭염에 시달리는 재소자들과 교도관들의 여름나기를 위해 100만 뉴질랜드 달러(약 7억 73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슬러시 기계를 구입한 사실이 드러나자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뉴질랜드의 야당인 국민당에서 공개한 자료를 인용해 뉴질랜드 교정 당국이 기록적인 무더위가 지속됐던 2017년과 지난해 여름 이후 폭력 사태 등을 예방하고자 교정당국이 193대의 슬러시 기계를 사들였다고 29일 보도했다.

교정 당국은 “무더위 속에 교도소 수감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폭력 사건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졌고 수감자는 물론 직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했다”면서 “앞서 개인 선풍기를 사용하거나 물에 적신 천을 얼굴에 대는 방법도 활용해봤지만 얼린 물보다는 주스 등 음료를 살짝 얼린 달짝지근한 슬러시가 시원함을 유지하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앤디 밀른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당시 수감자들의 긴장과 폭력성이 극도로 증대될 가능성이 있었고 결과적으로 수감자나 직원이 크게 다칠 수도 있다는 걸 의미했다”면서 슬러시 기계 구매의 당위성을 옹호했다. 현재 교소도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모두 9000여명이며 수감자들의 수도 이와 비슷하다.

시몬 브릿지 국민당 대표는 “(해당 지출은) 무책임하다. 괴상한 방식의 세금 낭비가 아닐 수 없다”고 강도 높게 비난하며 “이런 종류의 지출을 보고 있노라면 정부가 국민들로부터 세금을 더 걷어야 할 필요성이 전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들이 이미 가진 세금을 어떻게 써야하는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캘빈 데이비스 교정장관은 “교도소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6㎏가 넘는 보호 장비를 착용한 채 30도가 넘는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닐 빌레스 수석관리관은 “슬러시 기계를 들여 놓은 뒤엔 무더위에도 직원과 수감자 사이에 큰 사고가 없었다”면서 “슬러시 기계가 성공적으로 작동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슬러시는 우리 신체의 과도한 열을 즉각적으로 낮춰준다. 이는 차가운 물을 마시는 것에 비해 3배나 빠른 수준”이라면서 “내가 받은 피드백은 기계를 사들임으로써 직원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슬러시 기계 구입비가 막대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어려운 일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게끔 해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정책의 효용과 관계없이 슬러시에 함유된 높은 당분 함량을 걱정하며 좀 더 건강한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