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변호사 의회 출석에 심기불편…트럼프, 김정은과 만찬 취재 제한

전 변호사 의회 출석에 심기불편…트럼프, 김정은과 만찬 취재 제한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9-02-27 23:58
업데이트 2019-02-27 2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기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두 정상은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을 한 지 260일 만에 다시 만났다. 2019.2.27 AFP 하노이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기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두 정상은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을 한 지 260일 만에 다시 만났다. 2019.2.27
AFP 하노이 연합뉴스
2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교 만찬은 베일에 싸인 채 종료됐다.

미국 백악관이 취재진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국내 정치에 대해 민감한 질문을 했다는 이유로 접근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은 이날 미국 의회에 출석해 트럼프 대통령의 비위와 관련한 내용을 폭로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과의 단독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는 고개를 가로 저은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 공동(풀·Pool) 취재진에 따르면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두 정상의 단독회담 이후 이어진 친교 만찬에 글기사를 담당하는 ‘펜기자’는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단독회담 당시 공동 취재진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목소리를 높여 물어본 질문들의 민감성 때문이라고 샌더스 대변인은 설명했다.

그러자 사진 기자들도 친교 만찬 취재에 응하지 않겠다고 나섰고, 백악관은 결국 펜기자의 경우는 1명에게만 취재를 허용했다.

펜기자 취재 제한에 반발해 사진 기자들이 취재를 거부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처음으로 나란히 앉아 만찬을 하는 사진이 언론에 배포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단독회담 당시 공동 취재진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옛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의 의회 증언에 대한 입장이 있느냐고 물었고 트럼프 대통령은 고개만 가로 저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지 확대
2차 북미 정상회담 첫날인 2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만찬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9.2.27  AP 연합뉴스
2차 북미 정상회담 첫날인 2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만찬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9.2.27
AP 연합뉴스
코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 방문으로 미국을 비운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행위 의혹과 관련해 의회 공개 증언에 나선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에서도 코언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비난 트윗을 올렸다.

2차 북미정상회담이라는 사안의 중요성과 장소의 협소함 등을 고려해 백악관 출입기자들은 글과 사진, 영상을 담당하는 일부 기자들로 공동 취재진을 구성해 현장 상황을 취재하고 있다.

공동 취재진이 사진을 보내오지 않으면 백악관을 출입하는 언론사들도 사진 보도를 할 수 없게 되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
로이터 연합뉴스
샌더스 대변인은 이후 “(정상 간) 만남의 민감한 성격 때문에 만찬 공동 취재를 소규모로 제한했으나 사진과 TV, 라디오, 글 담당이 모두 현장에 있었다”면서 “(공동 취재진과) 논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미국 언론이 가능한 한 많은 취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동 취재진은 북한 기자들도 만찬 현장을 취재했는지와 관련해서는 “북한 기자들이 전부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1명의 사진기자와 1명의 카메라맨은 봤다”고 전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