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나를 체포하라”… 봉쇄령 어기고 테슬라 공장 가동

머스크 “나를 체포하라”… 봉쇄령 어기고 테슬라 공장 가동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5-12 22:04
업데이트 2020-05-13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송·본사 이전 발표 이어 생산 재개…므누신 “캘리포니아, 재가동 도와야”

이미지 확대
일론 머스크
일론 머스크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11일(현지시간) 지방 정부의 공장 재가동 금지 조치에도 생산 재개를 강행했다.

머스크는 이날 트위터에 “테슬라는 앨러미더카운티의 규정에 반해 오늘부터 생산을 재개한다”며 “다른 모든 이들과 함께 생산 라인에 있겠다. 누군가 체포된다면 그건 오직 나이기를 요청한다”고 게재했다. 보건문제 위반과 관련해 캘리포니아 주법에 따르면 하루 1000달러, 또는 90일 이하의 금고형에 처해질 수 있다.

머스크가 이 트윗을 올리기 전 테슬라 앨러미더카운티 프레몬트 공장 주차장은 이날 차량들로 꽉 차 있는 장면이 목격됐다. 앞서 테슬라는 생산 라인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일시해고 조치는 10일로 끝났으며, 관리자가 24시간 내에 업무와 관련해 연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레몬트 공장은 미국에서 유일한 테슬라 생산 공장으로 직원은 약 1만명에 이른다.

이에 앞서 캘리포니아주는 지난 8일 일부 소매점의 영업 및 제조업 규제를 풀었다. 머스크는 이를 근거로 8일 오후부터 공장을 제한적으로 가동하려 했으나 앨러미더카운티의 에리카 팬 보건국장 대행은 “(테슬라는) 아직 생산 재개 승인을 받은 게 아니다”라고 제동을 걸었다.

이에 테슬라는 10일 앨러미더카운티의 조치가 캘리포니아주의 정책과 상충한다면서 공장 가동 허용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또 테슬라 본사를 텍사스나 네바다 주로 옮기겠다고도 했다.

미국 재개를 바라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이날 “캘리포니아는 머스크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가동할 수 있도록 보건 문제 해결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0-05-13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