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교육부, 하버드·예일대 7조원 미신고 외국자금 조사

美교육부, 하버드·예일대 7조원 미신고 외국자금 조사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2-13 18:02
업데이트 2020-02-14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폼페이오 “中, 교육 침투” 발언 직후…러·이란 재단 관련 자료 제출도 요구

미국 하버드대와 예일대가 중국 등 외국으로부터 받은 자금 65억 달러(약 7조 6000억원)를 보고하지 않은 것에 대해 교육부가 조사에 들어갔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두 대학은 전날 외국으로부터 받은 선물이나 계약 등에 관한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교육부 서한을 받았다.

교육부는 또 이들 대학에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를 비롯해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ZTE와 우한 기술대, 러시아의 카스퍼스키 연구소와 스콜코보 재단, 이란의 알라비 재단 등과 관련된 자료 제출도 요구했다. 여기에는 중국이 젊은 자국 연구자를 고국으로 데려가는 ‘천인계획’도 포함됐다. 교육부의 이런 조치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 9일 “중국이 미국 교육 시스템에도 침투한다”고 발언한 직후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예일대는 2014~2017년 외국과의 거래나 외국에서 받은 선물과 계약 등 최소 3억 7500만 달러를 보고하지 않았다. 하버드대는 구체적인 규모를 밝히지 않았다. 하버드대의 한 교수는 미국 정부가 150만 달러를 지원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중국으로부터 수백만 달러를 받았는데도 이를 숨긴 혐의로 지난달 구속돼 기소됐다.

미국 기관들은 고등교육법에 따라 25만 달러를 초과하는 외국 선물, 계약 등에 대해 1년에 두 차례 보고해야 한다.

미국 정부 기관은 적대적인 외국 정부와 기업, 개인들이 이들 대학에 거액을 기부하고, 그 대가로 연구 결과물을 훔쳐 자국과의 경제적·군사적 격차를 줄이려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WSJ가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일부 대학은 “국가안보 우려는 과장이자 차별”이라면서 “기밀이 아닌 연구 결과 공표는 제한이 없으며, 인류를 위해 과학이 발전하려면 중국 등과의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0-02-14 1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