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분노… 민주는 반발

도시는 분노… 민주는 반발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11-15 22:56
업데이트 2016-11-16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트럼프 첫 행보에 몰아친 거센 비난

뉴욕 등 미국 대도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초강경 반(反)이민정책에 반기를 들며 불법체류자 보호를 선언했다. 민주당도 전날 백악관 수석전략가 겸 수석고문에 임명된 스티븐 배넌(62)의 인종주의 성향을 비난하며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등 트럼프가 첫 행보부터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불법체류자 300만명을 추방하겠다고 밝힌 다음날인 14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냈던 람 이매뉴얼 시카고 시장이 트럼프에 맞서 불법체류자를 보호하겠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시카고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불법체류자 300만명을 추방하겠다고 밝힌 다음날인 14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냈던 람 이매뉴얼 시카고 시장이 트럼프에 맞서 불법체류자를 보호하겠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시카고 AP 연합뉴스


스티브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가 선거운동 기간인 지난 5일 네바다주 리노에서 트럼프의 유세를 지켜보고 있는 모습. 리노 AP 연합뉴스
스티브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가 선거운동 기간인 지난 5일 네바다주 리노에서 트럼프의 유세를 지켜보고 있는 모습.
리노 AP 연합뉴스
14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 시애틀,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등 대도시와 인근 소도시들은 트럼프가 내년 1월 대통령에 취임해도 불법체류자를 추방하거나 차별하지 않는 ‘피난처 도시’ 정책을 지켜 가겠다고 밝혔다. 전날 트럼프가 CBS 시사프로 ‘60분’에 출연해 “1100만명으로 추정되는 불법체류자 가운데 200만∼300만명의 전과자부터 우선 추방하겠다”고 공언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1기 내각에서 비서실장을 지낸 람 이매뉴얼 시카고 시장은 “지난 8일에 일어난 일(트럼프 대통령 당선) 때문에 불안에 떠는 아이와 가족 모두에게 전하고 싶다”면서 “여러분이 시카고에 있는 한 언제나 안전하며 학교도 계속 다닐 수 있다”고 말했다.

에릭 가세티 LA 시장도 11일 이민자 단체 대표와 만나 “LA는 트럼프와 다른 입장을 갖고 있다”며 이민자 정책에 어떤 변화도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도 “트럼프가 뉴욕의 불법체류자 문제에 간섭하려 한다면 정면으로 부딪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피난처 도시 정책은 1980년대 내전을 피해 미국에 넘어온 중남미 출신 불법체류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곳에선 불심검문 등을 통한 이민자 단속이나 체포가 금지된다. 현재 미 전역에서 200개 이상 도시들이 채택하고 있다.

트럼프는 후보 시절부터 “대통령이 되면 불법체류자를 보호하는 도시에 대해 연방 예산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트럼프가 대통령에 정식 취임하면 이민자 처리를 놓고 이들 대도시와 한바탕 ‘전쟁’을 치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가 백악관 수석전략가 겸 수석고문으로 배넌을 임명한 데 대한 반대 여론도 커지고 있다. 대통령과 함께 국내 정책과 세계 전략의 큰 틀을 짜는 요직에 반(反)유대주의자이자 ‘정치 모사꾼’을 앉히면 전 세계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트럼프가 백인 우월주의자 가운데 한 명을 특보에 임명하는 것을 보면 왜 큐클럭스클랜(KKK·백인우월주의단체)이 트럼프를 자신의 대변자로 보는지 이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애덤 시프 의원도 “배넌을 선택한 것은 놀랍지는 않지만 걱정스러운 일”이라면서 “그의 극우, 반(反)유대인, 여성혐오 시각은 백악관과 맞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그간 트럼프를 강력하게 지지해 온 이스라엘에서도 배넌의 지명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유력 일간 하레츠는 “트럼프가 유대계 미국인의 소박하고 평화로운 생활을 산산조각 냈다”고 맹비난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6-11-16 1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