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 ‘무게추’ 재정정책 기울 듯

美 경제 ‘무게추’ 재정정책 기울 듯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6-11-10 22:22
업데이트 2016-11-10 2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연준에 매파 투입 전망

옐런 입지 축소… 금리 올릴 듯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당선으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위상도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자는 그동안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시키고자 하는 연준이 ‘거짓 경제’(false economy)를 만들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정책의 중심이 연준의 통화정책보다는 정부가 공공 투자에 집중해 경제 성장을 이끌어내는 재정정책으로 옮겨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트럼프 당선자의 경제자문역인 주디 셸턴은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집권하면 재닛 옐런 연준 의장에게 즉각 사임을 요구할 것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임기는 보장될 것”이라며 “다만 트럼프가 그를 다시 연준 의장직에 임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옐런 의장은 2018년 2월에 첫 번째 임기가 종료된다.

트럼프가 2018년까지 옐런 의장의 임기를 보장해도 내년에 연준 의원 2명이 퇴임해 공석이 생기면 통화 긴축(금리 인상)을 선호하는 매파 성향의 인물을 자리에 앉힐 가능성이 커 옐런의 입지는 좁아질 전망이다. 트럼프 측은 “옐런 의장이 대선 이후로 금리 인상을 미루고 있다”며 저금리 정책은 물가를 상승시키고 재정 안정성을 저해할 것이라고 비판해 왔다.

셸턴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저축하는 이들에게 고통을 주는 초저금리의 폐해를 지적했다”면서 “모두를 위한 경제를 원한다면 통화정책을 다시 평가해야 한다”고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측은 통화정책의 효용성이 다했다고 평가하고 대신 임기 내 1조 달러(약 1149조원)의 공공 인프라에 투자해 경기를 부양시키겠다고 공언했다. 이에 따라 건설업, 통신, 운송 분야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1조 달러를 투입하면 현재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1조 2300억 달러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트럼프의 경제 자문을 맡고있는 토마스 배럭 콜로니 캐피털 회장은 “이제 경기부양책을 통화정책 일변도가 아닌 재정정책과 결합된 혼합 정책으로 갈 때가 됐다”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11-11 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