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도발에 美 국방장관 “아태 지역 MD 강화해야”

북한 미사일 도발에 美 국방장관 “아태 지역 MD 강화해야”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6-23 10:21
업데이트 2016-06-23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애슈턴 카터(왼쪽) 미국 국방장관. 연합뉴스
애슈턴 카터(왼쪽) 미국 국방장관. 연합뉴스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은 22일(현지시간) 북한의 ‘무수단’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방들을 위해 미사일 방어체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했다.

워싱턴 이그재미너, 미군 기관지 성조지 등에 따르면 카터 장관은 미 켄터키주 포트 녹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이번 무수단 미사일 발사에 대해 “북만의 목적이 뭔지 모르겠다”면서 “이유가 무엇이든, 성공 수준이 어느 정도든 북한의 이번 발사는 우방인 한국과 한반도에 주둔한 미군 보호는 물론, 일본과 미국 영토를 지키려면 우리가 현재 하는 일을 계속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전부터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미사일 방어(MD) 공조체제 구축 필요성을 역설한 대목으로 해석된다. 카터 장관은 이어 “어떤 미사일이 발사됐고 결과가 어떻게 됐냐를 떠나서 이번 일 때문에 미국의 계획이 바뀌는 일은 전혀 없으며, 북한의 위협에 앞서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MD체제 강화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한편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사실을 확인하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미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논의 과정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앞서 미 정부 관계자들은 이달 한·미 양국이 지난 1월 북한의 5번째 핵실험 이후 사드 배치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해왔으며, 중국의 반대에도 곧 결과가 발표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한반도의 사드 배치 논의에 대해 중국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앞서 한민구 국방장관은 지난 6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단거리부터 중거리, 장거리 미사일을 모두 개발 중이지만 한국이 이를 막아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사드는) 군사상 분명한 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밝혀 사드 배치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