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혁명’ 테슬라, 다음 타깃은 태양광·로봇

‘전기차 혁명’ 테슬라, 다음 타깃은 태양광·로봇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06-22 22:50
업데이트 2016-06-22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솔라시티 통합 추진… 전기차 무료 충전까지 완성 의도

비영리재단 손잡고 집안일 로봇·AI 비서 개발도 박차

미국의 억만장자 기업가 일론 머스크(45)가 자신의 두 회사인 테슬라(전기차 제조)와 솔라시티(신재생에너지)를 통합할 방침이다. 솔라시티를 테슬라에 합쳐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 전기차 사업의 3가지 핵심 제품을 모두 생산하는 세계 유일의 회사로 업그레이드하겠다는 구상이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솔라시티에 편지를 보내 “솔라시티 종가에 25∼35%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붙여 주당 26.5∼28.5달러에 사들이겠다”고 밝혔다. 인수가액은 최대 28억 달러(약 3조 2000억원)다.

솔라시티는 테슬라, 스페이스X(우주선 제조)와 함께 이른바 ‘머스크 제국’의 3대 핵심 기업 가운데 하나다. 솔라시티는 테슬라 전기차를 무료로 충전해 주는 ‘슈퍼차저 스테이션’에 직접 생산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일을 한다. 머스크는 테슬라와 솔라시티의 창업자이자 테슬라 지분 21%와 솔라시티 지분 22%를 보유한 양사 최대 주주다.

머스크가 내세우는 양사 통합 명분은 테슬라가 전기차 사업과 관련된 모든 제품을 다 만드는 수직 계열화를 완성해 세계 어느 회사도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것이다. 그는 이날 열린 콘퍼런스콜(투자자와 증권사 등을 상대로 한 전화회의)에서도 “(양사 통합을) 몇 년간 진지하게 고민하고 토론해 왔다”면서 “두 회사의 제품들을 긴밀히 결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WSJ는 “자금 부족에 시달리는 두 회사의 결합이 논리적으로 맞지 않으며 상식에도 반한다”며 양사 통합의 속내가 따로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로 심각한 경영난에 빠진 솔라시티를 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테슬라에 합치려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두 회사가 지난해 쓴 돈만 50억 달러(5조 7600억원)에 달하지만 수익은 크지 않아 월가 일부에선 ‘머스크 제국’의 지속 가능성에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양사 통합 보도 이후 솔라시티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최대 29%까지 치솟았지만 테슬라 주가는 12% 떨어졌다.

한편 미국 CNN 방송은 머스크와 인공지능(AI)을 연구하는 비영리 재단 ‘오픈 AI’가 집안일을 할 수 있는 로봇을 공동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이날 전했다. 오픈 AI는 블로그에서 “가사용 로봇을 필두로 이해력과 언어 구사력을 겸비해 복잡한 일을 수행하는 AI 비서도 개발하겠다”고 덧붙였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6-06-23 1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