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시피 버닝’ 52년 만에 미제 상태로 수사 종결

‘미시시피 버닝’ 52년 만에 미제 상태로 수사 종결

입력 2016-06-22 01:46
업데이트 2016-06-22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민권운동의 도화선이 된 ‘미시시피 버닝’ 사건의 수사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52년 만에 종결됐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언론에 따르면, 짐 후드 미시시피 주 법무장관과 미국 법무부는 전날 “더는 수사할 게 없다”면서 미시시피 버닝 사건을 매듭짓는다고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사건의 희생자 3명이 실종된 지 52주기를 하루 앞두고 이뤄졌다.

‘미시시피 버닝’은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쿠클럭스클랜(KKK)이 흑인 인권 운동을 펼치던 3명의 인권운동가 제임스 얼 채니, 앤드루 굿먼, 마이클 슈워너를 집단 폭행·살해한 뒤 암매장한 사건이다.

미국 역사상 가장 잔인한 인권운동가 살해 사건으로 불리는 ‘미시시피 버닝’은 1988년 앨런 파커 감독의 동명 영화로 더욱 잘 알려졌다.

채니만 흑인이고 나머지 둘은 백인이다.

흑인의 유권자 등록을 독려하던 이들 3명의 인권운동가는 1964년 6월 21일 미시시피 주 네소바 카운티에서 흑인 교회 화재 사건을 조사하던 중 경찰에 체포됐다가 풀려난 뒤 KKK의 습격을 받고 실종됐다.

이들의 시신은 44일 후 한참 떨어진 곳에 있는 흙더미 밑에서 발견됐다.

미국 사회는 인권운동가의 무참한 살해 소식에 들끓었고, 그해 제정된 민권법 제정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미국 전역의 관심을 받은 이 사건은 그러나 미시시피 주 당국의 소극적인 수사로 한 차례 종결됐다가 살해해 가담한 이들을 모두 법으로 단죄해야 한다는 민심의 요청으로 41년 만에 재수사를 시작한 사례다.

사건 3년 후인 1967년 연방 민권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유죄 평결을 받은 KKK 단원 8명은 모두 살인죄를 면해 복역 6년 미만의 수형 생활만 하고 출소했다.

사람을 죽이고도 온당한 죗값을 치르지 않은 이들에 대한 공분이 세월이 흐를수록 격해졌고, 결국 미국 법무부와 미시시피 주 정부는 2005년 사건을 재수사했다.

재수사의 핵심은 명확한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었으나 주모자 격인 에드거 레이 킬런(91)만 단죄하는 결과를 낳았다.

미시시피 주 순회법원은 2005년 킬런에게 사실상 종신형이나 다름없는 징역 60년을 선고했다. 역사적인 판결을 한 매커스 고든 전 판사는 지난달 타계했다.

당국은 사건 가담자 대부분이 사망한 상황에서 생존한 제임스 피트 해리스, 지미 리 타운센드 2명을 추가 기소하려고 했으나 증거 불충분 등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해리스는 폭행·살인에 나설 KKK 단원을 전화로 모은 혐의, 타운센드는 폭행에 가담하진 않았으나 KKK 단원들과 함께 인권운동가 3명을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자동차 추격에 따라나선 혐의 등을 받고 있다.

후드 장관은 “지금 이 시기에 범행에 가담한 생존자를 단죄할 강력한 증거가 없다”면서 “그러나 종결 발표 후 새로운 정보가 나온다면 사건 재수사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AP 통신은 ‘미시시피 버닝’은 FBI가 2006년 야심 차게 재수사에 나선 1960년대 민권운동 시기 미제 사건 125건 중 하나라면서 대부분의 사건에서도 용의자를 추가 기소하진 못했다고 전했다.

당국의 전갈을 받은 미시시피 버닝 사건 유족들은 “희생자 3명이 아닌 정의를 찾으려다가 죽거나 다친 모든 이들에게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수사 종결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흑백 차별의 상징인 남부 연합기 엠블럼을 여전히 주기(州旗)에 새긴 미시시피 주의 뿌리 깊은 인종차별주의를 개탄하는 유족도 있다.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14년 미시시피 버닝 사건 유가족에게 ‘자유의 메달’을 수여하고 희생자들을 기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