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힐러리’… 이메일 스캔들·과거 의혹 재점화로 발목 잡히나

‘위기의 힐러리’… 이메일 스캔들·과거 의혹 재점화로 발목 잡히나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6-05-26 11:28
업데이트 2016-05-26 1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실상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로 자리매김하고 대선가도를 달리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잇따른 구설수로 난관에 봉착했다.

장관 재직 당시 개인 이메일로 공적 업무를 봤다는 ‘이메일 스캔들’이 본격적으로 발목을 잡은데다 과거 클린턴 부부가 연루된 ‘화이트워터 게이트’ 의혹도 재점화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사진=AFP연합뉴스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사진=AFP연합뉴스
미 국무부 감사관실이 25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한 ‘이메일 스캔들’ 관련보고서에 따르면 클린턴은 개인 이메일로 주고받은 연방정부 기록물을 출력해 사무실에 보관하거나, 아니면 2013년 2월 퇴임 전에 업무 관련 이메일 기록을 모두 제출했어야 했다.

그러나 클린턴은 퇴임한 지 거의 2년 후인 2014년 12월에서야 관련 기록물을 제출해, 국무부 규정을 위반했다.

특히 보고서 작성을 위한 감사관실의 공식 면담 요청에 매들린 올브라이트, 콜린 파월, 콘돌리자 라이스 등 전직뿐 아니라 존 케리 현 장관까지도 응했지만, 클린턴만이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외교의 최고사령탑이 업무규정을 위반한 것도 모자라 진상조사도 회피하려 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 보고서에 대해 “클린턴이 이메일을 다루면서 법규를 충실히 지켰는지에 대해 과거에 내놓았던 설명을 한층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진영에서 오는 11월 대선까지 이메일 스캔들에 집중포화를 퍼부을 것으로 전망했다.

설상가상으로 이미 고강도 수사에 나선 미 연방수사국(FBI)은 클린턴을 직접 조사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상황.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클린턴 전 장관의 대권가도에 핵폭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설령 기소되지 않더라도 비호감 이미지가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클린턴 측은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심지어 클린턴은 현재 이 문제로 인해 보수단체들에 의해 법정 증언대에까지 설 수 있는 상황으로 내몰려 있다.

WP는 “이메일 논란의 양대 대형 도미노 가운데 하나(국무부 감사)가 넘어졌을 뿐”이라며 “나머지 하나의 도미노인 FBI 수사가 아직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는 23년 전 화이트워터 게이트 담당 측근의 자살사건을 끄집어내 클린턴 부부의 살인 의혹까지 주장하고 나서는 등 화이트워터 게이트를 본격 쟁점화할 태세다.

미 정치전문지 폴리티코는 트럼프 캠프의 마이클 카푸토 고문이 공화당 전국위원회(RNC)에 화이트워터 게이트에 대한 조사와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발송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화이트워터 게이트는 클린턴 전 대통령이 아칸소 주지사 시절 부인 힐러리의 친구인 제임스 맥두걸 부부와 함께 부동산개발회사 ‘화이트워트’를 설립해 휴양단지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기 및 직권 남용 의혹을 말한다.

물론 클린턴 부부는 2000년 8월 무혐의 처분을 받아 의혹에서 벗어났지만, 트럼프가 대대적인 네거티브 공세를 예고함에 따라 앞으로 대선정국의 소용돌이 속에서 어떤 파문을 낳을지는 가늠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