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나비도 피한다는 악취 ‘시체꽃’ 냄새 맡아 보니…

[World 특파원 블로그] 나비도 피한다는 악취 ‘시체꽃’ 냄새 맡아 보니…

입력 2013-07-25 00:00
업데이트 2013-07-25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식물원서 6년만에 꽃 피워 “구역질 나 밥도 못 먹을 정도”

“냄새가 나나요?”

“글쎄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연방식물원에 핀 일명 ‘시체꽃’을 보기 위해 관람객들이 몰려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연방식물원에 핀 일명 ‘시체꽃’을 보기 위해 관람객들이 몰려 있다.


23일 오후 2시쯤(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연방식물원’ 온실. 어른 키 두 배만 한 특이한 모양의 식물에 수십명의 관람객이 몰려 코를 가까이 들이대고 냄새를 맡고 있었다. 향기는커녕 시체 썩는 냄새를 풍긴다고 해서 ‘시체꽃’이라고 불리는 ‘타이탄 아룸’이었다. 가지에서 열리지 않는 꽃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꽃인 시체꽃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고유종으로 전 세계에 100여 송이만 있는 희귀종이다.

매년 꽃이 피는 게 아니라 길게는 수십년 만에 꽃을 피우며, 지독한 냄새 때문에 나비가 아닌 송장벌레나 쇠똥구리가 수분(受粉)을 한다고 한다.

미국 언론은 이 식물원의 시체꽃이 씨를 뿌린 지 6년 만인 지난 21일 저녁 꽃을 피워 악취가 진동한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식물원 큐레이터 빌 맥로린은 “구역질이 나서 21일 밤 11시까지 저녁식사를 할 수 없었다”면서 “냄새를 형언하기 힘들다”고 했다.

하지만 이날 기자가 구토를 각오하고 직접 코를 들이대 봤는데, 웬걸 아무런 냄새가 나지 않았다. 옆에서 함께 킁킁거리던 관람객들의 반응은 “냄새가 안 나 아쉽다”와 “냄새가 안 나 다행이다”로 갈렸다. 시체꽃은 개화 후 24~48시간 만에 급속히 시들고 냄새도 잦아든다고는 하지만, 그토록 지독하다는 냄새가 그렇게 말끔히 사라졌다는 게 믿기지 않았다. 얼핏 식물원 측의 과장된 ‘홍보’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고개를 들었다.

실제 식물원 측은 입구에서 관람객에게 이번에 꽃을 피운 시체꽃을 상세히 소개하는 팸플릿을 그새 만들어 무료로 나눠 주고 있었다. 또 식물원 홈페이지는 시체꽃의 모습을 동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했다. 식물원의 문 닫는 시간도 평소보다 3시간 연장했다. 입장료가 무료이긴 하지만 한 명이라도 많은 손님을 끌어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공공기관의 노력 내지 서비스 정신으로 볼 수 있을까.

글 사진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7-25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