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무역체제 회복·기후위기 대응”
남아공 주도로 첫날 이례적 채택
요하네스버그 연합뉴스
G20 첫날 ‘남아공 선언’ 손잡은 정상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파블로 키르노 아르헨티나 외교부 장관,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외무장관,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이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주앙 로렌수 아프리카연합(AU) 의장,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리창 중국 총리,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인도네시아 부통령,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에드가르 아브람 아마도르 사모라 멕시코 재무부 장관, 막심 오레시킨 러시아 대통령실 부비서실장.
요하네스버그 연합뉴스
요하네스버그 연합뉴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는 이례적으로 첫날부터 다자무역 체제 회복과 기후위기 대응을 강조하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남아공의 ‘백인 박해’ 의혹을 제기하며 불참한 미국은 G20 창립 원칙이 훼손됐다며 비난을 퍼부었다.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은 회의 첫날인 22일(현지시간)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이 주도해 122개 항목으로 구성된 선언문을 채택했다. G20은 그간 회의 마지막 날인 둘째 날 폐막에 앞서 선언을 채택하는 게 관례였다. 라마포사 대통령이 첫날 선언문 채택을 강행한 이유는 미국과의 갈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G20 정상들은 선언문에서 “G20이 다자주의 정신에 기반해 합의에 따라 운영되며 모든 회원국이 정상회의를 포함한 모든 행사에 동등한 입장으로 참여한다는 우리의 약속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이어 “2026년 의장국인 미국에 협력하고 2027년 영국, 2028년 대한민국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다”며 2028년 G20 정상회의 한국 개최를 공표했다.
G20 정상들은 또 “수단과 콩고민주공화국, 점령된 팔레스타인 영토(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 우크라이나에서 정당하고 포괄적이며 영구적인 평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모순되는 일방적인 무역 관행에 대응하겠다고 천명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성 등도 언급했다. 이런 이슈는 트럼프 대통령이 반대하거나 꺼리는 것들이다. 이에 안나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미국의 지속적이고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남아공이 G20 의장국 지위를 무기화해 G20의 창립 원칙을 훼손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 줬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2025-11-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전자레인지에 남은 생선 돌리면 안 되는 이유…꼭 먹어야 한다면 ‘이것’ 함께 [라이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20/SSC_20251120171736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