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산업혁명’ 앞당기는 英, 2030년부터 전기차만 판다

‘녹색 산업혁명’ 앞당기는 英, 2030년부터 전기차만 판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11-18 13:48
업데이트 2020-11-18 1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솔린 등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존슨 총리 “일자리 25만개 창출”

보리스 존슨-AP 연합뉴스
보리스 존슨-AP 연합뉴스
영국 정부가 2030년부터 가솔린과 디젤 등 내연기관차의 판매를 금지한다고 AP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이날 ‘녹색 산업 혁명’ 계획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존슨 총리는 “이번 계획으로 에너지와 교통 부문 등에서 25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2035년까지 판매가 가능하다.

친환경 차량으로의 전면 전환은 예정된 수순이었지만, 그 시점이 2040년 전후로 예상됐었다는 점에서 이번 발표는 영국정부의 선제적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동차업계는 전기차로 전면 전환하기에는 2040년도 벅차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유럽연합 탈퇴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경제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상황에서 영국정부로서는 친환경 분야에서 돌파구를 찾을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녹색산업은 영국 북동부와 스코틀랜드 등의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영국 정부의 이번 발표로 다른 유럽국가들이 자동차산업의 친환경 전환 시점을 앞당길 가능성도 제기된다. 영국 외에도 노르웨이는 2025년, 프랑스는 2040년까지 가솔린·디젤 차량의 판매를 중단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